아하
생활

생활꿀팁

빠른노루44
빠른노루44

향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어디에 사용될까요?

비트코인이 오늘 날짜로 2200만원이 넘고 이더리움이 68만원이 넘었는데요.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이 올라서 놀랐습니다.

이렇게 비싸지는 이유와 비트와 이더가 사용되는 곳이 어디가 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말쑥한호랑나비4
      말쑥한호랑나비4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사용에 대해 질문하셨는데요,

      현재의 비트코인은 인플레이션의 헷지 수단으로 계속해서 그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나스닥에 상장한 우수한 기관들도 비트코인의 보유 수량/비율을 늘이고 있다고 말하여 그 상승은 더욱 이어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비트코인은 앞으로 결제와 송금, 투자 수단으로써 계속적인 사용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으며, 이더리움의 경우에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플랫폼 사용에 대한 활성화와 수단으로 사용되고, 스마트컨트렉트 구현을 위한 사용, 투자의 수단으로 사용될 확률이 높습니다.

      암호화폐의 시세가 계속 유지될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암호화폐에 대한 인식과 가치는 계속해서 증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비트코인을 현금처럼 쓰기에는 현재 초당 처리 할 수 있는 거래 숫자가 너무 적습니다. 따라서 비자 카드 처럼 사용하기에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상품 혹은 자산의 가치 저장으로서는 가치가 있습니다. 즉 비트코인의 급등 급락에 따라 돈을 벌 수 있는 시장이 커지고 있고, 가격이 크기 때문에 많은 가치를 저장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더리움은 2.0을 통해 초당 처리 할 수 있는 거래 숫자를 급격히 늘리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비자 카드 처럼 결제용으로 활용가능해질 것으로 판단되고 이더리움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탈중앙화된 금융 또한 만들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향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어디에 사용될까요? 라고 문의 하셨는데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으로 결제가 가능한 사용처들도 많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페이팔에서 비트코인으로 결제기능을 탑재한다는 소식으로 비트코인의 상승에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경우 화폐의 기능보다는 금,은과 같은 자산의 개념의 디지털 자산으로 보셔야 할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지식답변자 다라닝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근본적인 가격상승은 희소성과 사람들의 높아지는 관심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최초의 암호화폐이면서 암호화폐의 대명사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그 파급효과가 무엇보다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금처럼 자산보관 형태의 역할만 수행할것으로 전망됩니다.

      기능자체가 단순하고 송금시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굳이 비트코인을 송금주체로 사용하지 않을것이며

      이더리움은 플랫폼 코인으로 다른 코인들을 아우르는

      부모코인으로 자리잡을것으로 전망됩니다.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적인 문의가 필요하시면 답변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최근엔 현금만 빼고 모든것이 죄다 폭등하는 상황입니다.

      그만큼 전세계가 무제한에 가까울 정도로 현금을 찍어내고 있는것에 그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바야흐로 전세계의 하이퍼 인플레이션 현상이 도래했다고 보는 시선이 맞을 겁니다.

      전세계의 경제침체에 이은 코로나발 경제타격까지 극복한다는 명목하에 돈을 마구잡이로 살포하고 있기 때문에 현금 이외에 모든 가치저장 수단으로 여겨지는 것들이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것 뿐입니다.

      비트와 이더가 과거와 다르게 특별난 평가를 받고 있다던가 하는 것은 아니고요....

      참고로 비트와 이더는 이미 알고계신것처럼 가격이 형성되어 있는만큼 현금에 준하는 값어치를 지니고는 있습니다만 국가차원에서 이것들을 실제 화폐대용으로 쓰게 대중적으로 허용할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디지털 화폐가 필요하면 CBDC를 별도로 만들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