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중국은 성리학이 나온나라인데 왜 정작 중국은 전제군주제 엿을까요?
중국은 유교 성리학이 나온 나라인데요. 정도전도 이러한 사상을 꿈꿔왔습니다.
그런데 중국은 정작 강력한 왕과 전제군주 즉 강력한 중앙집권화를 보였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은 오랜 역사 동안 황제를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적 체제가 유지되어 왔습니다. 성리학이 발달한 송나라 역시 군사력이 약해져 외부의 침입을 자주 받았기 때문에 황제의 권한을 강화하고 신분제를 엄격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학이 전제군주제를 뒷받침하지 않았다면 역대 왕조가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지 않았을 겁니다.
유교는 가족 윤리에서부터 시작해 국가로까지 확장되는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자식이 부모에 효를 다하듯이, 백성은 어버이인 임금에게 충성과 효를 다해야 하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임금은 자식같은 백성에게 자애로워야 하는 것이고요.
이렇듯 자연스레 사회질서를 유지시키고 신분질서를 정당화하며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강조하는 유교가 군주제를 지향하는게 당연하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학의 창시자 라고 할수 있는 공자가 있던 기원전 8세기 춘추 전국 시대에도 12세기 성리학이 발생하던 송나라에서도 중국은 왕이 존재 하던 시대 였습니다. 유학이나 성리학과 강력한 왕권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성리학(性理學)은 12세기에 주희가(朱熹)가 집대성한 유학의 주류 학파이며 사람으로서 마땅히 행해야 할 도리에 대해서 가르치는 학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