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10.06

단종은 왜 실록에 왕으로 기록되어 있나요?

단종은 왕위에서 폐위되고 나서 세조로부터 군(君)으로 강등이 되었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면 군(君)의 위치에서 돌아가신 건데 왜 연산군이나 광해군처럼 군이라는 칭호가 아닌 임금을 의미하는 종(宗)으로 기록이 된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453년(단종 1)에 수양대군은 어린조카 단종을 보위하는 황보인 김종서 등 십여명을 죽이고 단종에게 양위받은 것처럼 권력을 찬탈하니다. 이정난이라고 합니다. 13세의 어린 나이에 문종의 뒤를 이어 왕이 된 단종에게는 왕대비마마나 대비마마도 없어서 문종의 고명을 받은 황보인 김종서 등이 권력을 좌지우지 하였습니다. 이런 모습을 못참고 수양대군은 왕권강화를 내세우며 권력찬탈을 저지른 것입니다. 폐위되어 노산군이 된 단종은 강원도 영월로 유배 보내집니다. 이에 불복하여 성산문 박팽년 등은 단종복위운동을 전개하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세조에 의해 죽임을 당해 사육신으로 불리웠고 김시습 등 6명은 불사이군을 주장하며 벼슬을 버리고 세속적 삶을 영위하게 됩니다. 1681년(숙종 7)에 노산대군으로 추촌되고 단종으로 복원되었습니다. 이 점에서 연사군이나 광해군과 다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06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종은 숙종 때가 되어서야 비로소 묘호를 받았다고 합니다.

    단종실록은 권수 14, 책수 6권으로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실록 속 표제에는 전부 '노산군일기'라고 적혔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종은 죽은 뒤 묘호도 없이 노산군으로 불리다가 중종 때 사림에 의해 복권 논의가 나왔으나 거절, 사림의 한 갈래인 서인, 노론은 단종과 단종비 정순왕후 송씨의 복권을 주장하여 중종과 효종 때 단종의 복권 여론을 조성했습니다.

    사망한지 224년만인 1681년 7월 숙종의 특명으로 노산대군으로 추봉, 1698년 11월 6일 복위되어 묘호를 단종으로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종복위 사건이 나자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강원도 영월에 유배되었습니다. 이후 서인으로 강등되었다가 죽음을 맞았습니다. 1681년(숙종 7)에 노산대군으로 추봉되고 1698년에 복위되어 종을 되찾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