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있지izty
있지izty23.09.04

단종은 왜 군이 아니라 종으로 불리나요?

연산군,광해군처럼 쫓겨난 왕에게 군을 붙인다고 알고있는데 왜 단종은 쫓겨났는데 군이 아닌 종으로 불리나요? 흉폭한왕이 군으로 불린다는 말도 있는데 그러면 연산군만 군으로 불려야지 광해군은 백성을 위하고 전쟁을 피하려다 쫓겨나서 해당이 되지 않는다 생각하는데 왜 단종만 종으로 불리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종은 원래 노산군이라고 불렸습니다. 그러나 숙종때 복위되어서 묘호가 붙여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종은 세조에게 선위하고 상왕으로 대접받으나 사육신의 복위운동으로 인해 결국 폐서인되고 영월로 유배가 죽임을 당하게 되며 노산군으로 강등됩니다.

    후 사림이 집권하면서 단종에 대한 동정심이 생겼고 결국 1681년 7월 숙종의 특명으로 노산대군으로 추봉, 1698년 11월 6일 복위되어 묘호를 단종이라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단종은 원래 폐위되어 청령포에 유배된 이후 '노산군'으로 불리게 되었는데, 숙종 때 노산대군으로 추봉되었고 1698년(숙종 24) 복위가 되어 이때서야 비로소 단종이라는 묘호를 받았으며, 그 무덤은 장릉으로 격상되었습니다. 즉, 이때부터 왕으로 인정받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종은 숙부인 수양 대군에 의해서 폐위 되었지만 다시 후대에 1681년 (숙종 7년)에 노산대군으로 추봉되고 1698년에 복위되었습니다. 그래서 군이 아니라 다시 단종이 된 것 입니다. 하지만 연산군이나 광해군은 폭정으로 폐위되고 다시 복권 된 적이 없기에 그냥 군으로 불리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왕 중에서 "종"이나 "조"를 붙이는 기준은 주로 그들의 통치 기간과 성적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기준입니다.

    1. (宗): 조선 왕조의 시조인 태조 이성계와 그의 후손들을 가리키는 호칭입니다. 태조 이성계부터 현종까지의 왕들은 "종"이라는 호칭을 사용했습니다.

    2. (祖): 조선시대에서는 태조 이성계를 제외한 후손들, 즉 왕의 아버지나 할아버지 등 직계 선조에 대해서는 "조"라는 호칭을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세종대왕의 아버지인 태종은 "태종"으로 불렸고, 세자(세종대왕의 아들)인 문덕세자도 "문덕세자 조"로 불렀습니다.

    3. (君): 일부 경우에는 군호가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보통 군호는 자식으로부터 왕위를 넘겨 받은 경우에 사용되었으며, 후위(뒤에 나오는) 왕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정육왕과 공민왕은 자식으로부터 왕위를 넘겨 받았으므로 군호가 부여되었습니다.

    위와 같이 종 및 조 호칭과 군호가 사용된 것은 조선시대에서 통치자 간 상속 관계와 가문 구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