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8.24

연산군과 광해군의 이름 끝에 왜 군이 붙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 때의 왕들의 이름을 보면 대부분 조, 종으로 끝나지만, 왜 연산군과 광해군은

끝에 조, 종이 아닌 군이 붙어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묘호는 대개 조와 종으로 구분됩니다. 그러나 연산군이나 광해군처럼 군은 왕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폐위되었기때문에 붙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의 이름 하면 세종, 영조, 고종 등 두 글자의 이름이 익숙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연산군과 광해군의 왕이름은 세글자 이며 군으로 끝납니다. 이를 위해선 왕을 부르는 이름 종류를 먼저 아셔야 합니다.

    왕을 부르는 이름은 군호와 묘호 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군호는 왕의 아들일 때 주어진 이름 입니다. 왕의 아들조차 신하들이 함부로 이름을 말할수 없기에 수양대군, 연산군, 광해군등으로 불렀습니다. 묘호는 임금이 죽은 후 그 업적을 기리기 위해 붙이는 이름 입니다. 즉 후대가 왕으로서 인정하지 않는 다면 묘호가 있을 수가 없습니다.

    알려져 있다시피 연산군과 광해군은 왕을 하던 중 반란에 의해 쫒겨난 왕들입니다. 그러므로 그가 죽었을 때는 사람들이 그를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기때문에 왕자 때 부르던 이름을 그대로 써줬기 때문에 연산군 광해군 으로 불리는 이유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 및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군 은 왕위에서 쫓겨난 사람에게 붙는 것으로, 연산군, 광해군은 폐위되었으므로 묘호 없이 왕자시절에 불리던 호칭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연산군 광해군은 왕에서 폐위를 당하게 됩니다. 그래서 대군의 신분으로 강등 당하게 된것 입니다. 그래서 더이상 왕의 신분이 아닌 일반 왕자의 신분인 대군의 군으로 되었다고 해서 광해군, 연산군 으로 이름 불리어진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연산군과 광해군은 재위 당시 묘호를 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묘호는 임금이 죽고 난 뒤 종묘(역대 임금들을 모신 사당)에 들어갈 때 부여되는 조,종 같은 호입니다. 하지만 연산군과 광해군은 각각 중종반정과 인종반정으로 폐위되었기 때문에 종묘에 들어가지 못했고, 묘호도 받지 못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연산군외에 또 종이나 조가 안붙는 왕은 광해군이 있는데 이 두왕의 공통점은 모두 반정에 의해서 물러났다는 것이죠(중종반정 인조반정) 반정으로 물러났다는건 쉽게 말해 쫓겨났다는겁니다 실록을 편찬한 후대에서 두 왕을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다는 것이지요 ..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를 기록할때 승자위주로 역사가 기록됩니다. 페위당한 왕들을 새로 즉위한 왕과

    반정일으킨 신하들이 자기들을 정당화 하기 위해서 군으로 낮췄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