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운 음식을 먹게 되면 왜 코에서 콧물이 나나요?
매운 음식을 먹을 때는 사람들이 콧물이 나서 휴지로 닦으면서 먹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매운 음식을 먹는다면 혀나 식도가 자극될 거 같은데 코에서 반응이 나오는건 어떤 이유인가요?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매운 음식을 먹을 때 콧물이 나는 현상은 '구스토안면반사(gustatory rhinitis)'라고 불리는 생리적 반응입니다. 매운 음식에 함유된 캡사이신 같은 자극 물질이 구강 내 통각수용체를 자극하면, 뇌는 이를 위협으로 인식하고 방어 반응을 활성화합니다. 이때 삼차신경(뇌신경 중 하나)을 통해 자극 신호가 뇌로 전달되고, 뇌는 코 점막의 혈관을 확장시키고 분비선을 자극해 콧물을 생성하게 됩니다. 이 현상은 신체의 자연스러운 방어 메커니즘으로, 자극물질을 희석하고 제거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또한 코와 입은 비인두강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 한 부위의 자극이 다른 부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정상적인 생리 반응이지만, 일부 사람들은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더 많은 콧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매운맛 성분이 혀나 식도뿐 아니라 입과 코 점막에 연결된 신경을 함께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매운맛은 미각이 아니라 통각으로 인식되어, 입천장과 코 점막의 신경이 동시에 반응합니다. 이 자극이 코 점막에 전달되면, 코는 자극을 씻어내고 보호하기 위해 점액(콧물)을 분비하게 됩니다.
즉, 혀와 식도 뿐만 아니라 코 점막도 신경 반사로 함께 자극을 받아 콧물이 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매운 음식을 먹을 때 콧물이 나는 현상은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흔한 반응인데요. 매운맛은 사실 우리 몸에서는 뜨거운 온도나 통증으로 인식됩니다. 이런 자극은 주로 캡사이신 같은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 물질이 혀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면 뇌는 이를 매운맛으로 해석하게 됩니다.
이러한 자극은 입안에만 국한되지 않고, 몸 전체에 여러 반응을 일으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콧물 분비입니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캡사이신이 삼차신경을 자극하게 됩니다. 이 삼차신경은 얼굴의 감각을 담당하고 있는데, 특히 코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자극을 받은 삼차신경은 코의 점막에도 영향을 주어 점액의 분비를 촉진시킵니다. 이렇게 촉진된 점액이 바로 콧물로 이어지는 것이죠.
또한, 매운맛을 느끼면 몸의 체온조절 작용으로 땀이 나거나 콧물이 흐르기도 합니다. 이는 매운 자극으로 인해 체내에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방어 반응 중 하나로, 체온을 낮추고 자극을 해소하려는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매운 음식을 먹었을 때 콧물이 나는 이유는 매운 성분인 캡사이신이 신경계를 자극하면서 발생하는 생리적 반응 때문입니다. 캡사이신은 고추에서 나오는 화학 물질로, 혀에 있는 통각 수용체에 결합하여 "매운" 느낌을 유발합니다. 이 자극은 단순히 혀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신경을 통해 몸의 다른 부분에도 반응을 일으키죠
매운 음식을 먹으면 자율신경계가 활성화되어 체온을 낮추기 위한 반응으로 땀이 나기도 하지만, 코 점막도 자극을 받습니다. 이때 코는 과도한 자극을 완화하려고 점액을 분비하는데, 이 점액이 콧물 형태로 나와요. 이 과정은 코가 자극을 받았을 때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방어적인 반응으로, 매운 성분이 자극하는 통증이나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입니다.
결과적으로, 매운 음식을 먹을 때 혀와 코가 동시에 자극을 받으며, 코에서는 점액을 더 많이 분비해 콧물이 나게 됩니다. 이 반응은 개인마다 강도가 다를 수 있으며, 매운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도 가끔 이러한 반응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코의 혈관들이 확장되게 됩니다. 혈관의 확장이 콧물 형성 및 분비를 촉진하게 되어 콧물이 나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