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이 있는 사람들에게 김치가 좋을 수도 있나요?
김치에는 배추 한포기를 포함한 채소들과 고추와 파, 마늘과 생강을 포함한 양념들이 다양해서 소금으로 짠맛을 내고 젓갈로 발효를 시켰어도 밥이나 두부에 같이 먹으면 몸에 좋죠.
짠 맛을 고혈압에 주범이라고 판단하기는 조금 불편한데 김치를 먹으면 고혈압이 생기지 않아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영양전문가입니다.
우선 김치는 일반인들에게 소량 먹으면 고혈압 예방을 어느정도 작용을 해요
다만 고혈압이 있으신 분들에게는 드시면 나트륨에 대한 부담이 클수 있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김치는 발효 채소음식으로 유산균, 식이섬유, 비타민 C, K,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서 장 건강과 면역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특히 배추와 마늘, 생강, 고추의 항산화, 항염 성분은 혈관 건강에도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고혈압 환자에게 문제는 짠맛, 즉 나트륨에 있습니다. 김치 100g에는 평균 800~900mg 정도의 나트륨이 들어있는데 이는 하루 권장 나트륨 섭취량 2,000mg 기준의 절반 가까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김치 자체가 고혈압을 유발한다기보다 이미 혈압이 높으신 분이 과량 섭취한다면 혈압의 조절에 부담이 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김치를 완전히 피할 필요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소금 사용량을 줄인 저염김치나 백김치, 채소 위주의 식단과 함께 소량 곁들여 드신다면 발효식품으로서 장점도 누릴 수 있기때문입니다.
그리고 두부, 현미밥, 채소와 같이 염분이 적은 음식과 함께 드시면 나트륨 섭취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
정리드리자면
고혈압 환자도 김치를 적정량을 드시거나, 물에 씻어서, 아니면 백김치 형태로 섭취하면 건강에 오히려 이로우며 중요한건 전체 식단에서 나트륨 균형을 맞추시는 것이 되겠습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