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막성대장염 과거력 있는데 항생제 먹어도 되나요?
현재는 증상 없이 지내는데 축농증으로 항생제 처방 받았습니다 위막성대장염 과거력 말씀 드렸는데도 먹어야 한다고 주셨어요
클리스로정(마크로라이드계) 받았는데 먹어도 되나요? 먹고 위막성 대장염 재발하진 않을지 걱정됩니다 ㅠ
위막성 대장염이 모든 항생제사용에서 발생하는건 아닙니다. ampicillin이나 cephalosporin 계열 항생제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clarithromycin (macrolide 계열) 약물에서는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걱정 안하셔도 되겠습니다.
1명 평가위막성 대장염을 경험하신 후 항생제 복용에 대해 우려가 있는 것은 매우 이해가 갑니다. 위막성 대장염은 주로 특정 항생제로 인해 대장 내 정상적인 박테리아 균형이 깨지면서 발생하는데, 특히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이라는 박테리아가 과도하게 증식하여 일어납니다.
.
클리스로정은 마크로라이드 계열의 항생제로, 주로 호흡기 감염 치료에 사용됩니다. 마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는 위막성 대장염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다른 항생제(예: 클린다마이신, 퀴놀론 계열)보다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그러나, 어떤 항생제도 위막성 대장염의 위험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클리스로정(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 복용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계신 것 같네요. 과거 위막성 대장염 병력이 있는 분들은 항생제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하지만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는 위막성 대장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비교적 낮은 편입니다. 축농증 치료를 위해 의사가 처방한대로 복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약 복용 중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말씀하신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도 위막성대장염을 유발할 수 있는 약제이긴 합니다만, 진료본 의사가 이러한 위험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약 복용을 시작하자 권고하고 있으니 이에 맞게 치료를 이어가보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이전에 경험하셨던 것 처럼 복통, 설사, 혈변, 발열 등의 증상이 또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축농증 치료에는 반드시 항생제 치료가 병행되어야 증상이 호전됩니다. 또한 위막성 대장염의 유발 요인이 항생제인 부분도 맞습니다.
다만, 모든 종류의 항생제가 이러한 위막성 대장염을 유발시키지는 않습니다. 기존에 이러한 대장염을 일으킬 수 있는 주요 유발 항생제는 페니실린계열 (암피실린), 클린다마이신 계열의 항생제이며, 현재 처방받으신 마클로라이드계열 약제는 위험도는 그다지 높지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다만, 어느 항생제라도 수 주간의 치료를 요하는 상태라면 주의가 필요하며 설사 또는 발열이 나타나는 양상이라면 바로 항생제 복용을 중단하시고 내과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위막성 대장염(PMC;Pseudomembraneous colitis) 에 대한 병력이 있다고 하여 항생제가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을 할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반복적 재발성 위막성 대장염이 있다면 향후 치료를 위한 대변이식술도 고려해볼수 있습니다. 답변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축농증으로 항생제 처방받으신것은 지금 안드시는게 좋겠네요
축농증 한약과 침치료 받아보세요
위대장염이 재발되면 너무 힘들어지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