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용어 중에 겉보기등급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천체 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찰하는 과학 뉴스 내용 중에,
"이 두 거울 덕분에 겉보기등급으로 최대 20등급의 별까지 관측이 가능하다고 한다. 참고로 우리가 맨 눈으로 관측할 수 있는 별의 등급은 6등급인데, 1등급보다 100배 어둡다. 그럼 한 등급으로 올라갈수록 약 2.512배로 어두워지는 건데, 20등급이면 1등급 별보다 약 2.512의 20승 정도의 어두운 별까지도 관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는 내용이 있던데,
여기서 겉보기등급은 어떤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겉보기등급 또는 실시등급(實視等級)은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천문학자 히파르코스가 눈으로 보았을 때 가장 밝은 별을 1등급, 가장 어두운 별을 6등급으로 해서 구분한 것이 시초이다. 그리고 19세기에 이르러 영국의 노먼 포그슨이 빛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1등급 별의 밝기는 6등급 별의 밝기의 약 100배임을 밝혀냈다. 이를 근거로 현대 천문학에서는 6등급을 1등급보다 100배 어두운 별로 정의한다. 즉, 1등급 별보다 2등급 별은 1001/5 = 약 2.512배 어둡다.
절대등급은 항성의 본래의 밝기이며, 지구로부터 10파섹(약 32.6광년)의 거리에 두었다고 가정했을 때의 밝기이다. 겉보기등급이 가장 높은 천체는 태양인데, 태양의 경우 절대등급은 4.8등급이고, 겉보기등급은 -26.8등급이다.
출처 : 위키백과 - 겉보기등급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겉보기등급이란 빛의속도, 행성크기, 색깔, 모양, 행선간 거리를 무시한 밝기를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겉보기등급은 별의거리나 크기, 주변별빛의 영향등을 고려하여 보정하지않고, 실제 지구에서 관측되는 별의 밝기를 의미합니다.
즉, 멀어서 빛이 희미해지건 가까워서 실제보다 더 밝게보이는것을 고려하지않은 실제 눈에보이는 밝기입니다.
반면 절대등급은 이와같은요소들을 고려하여 실제 별이 내뿜는 밝기를 계산한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겉보기등급은 거리에 상관 없이 우리 눈에 보이는 별의 밝기를 기준으로 나눈 등급이고, 절대등급은 모든 별을 같은 거리에 두고 비교한 별의 등급을 말해요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겉보기등급은 천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별이나 행성과 같은 천체들은 우리 눈에 얼마나 밝게 보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겉보기등급이 낮을수록 더 밝게 보이며, 1등급 별이 가장 밝고 6등급 별이 가장 어둡게 보입니다.
겉보기등급의 계산은 약간의 수학적 규칙을 따릅니다. 한 등급으로 올라갈수록 약 2.512배로 어두워집니다. 즉, 1등급 별은 2.512배(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음) 밝고 2등급 별은 2.512배 * 2.512배 = 약 6.31배 밝습니다. 이런식으로 계산하여 각 등급의 밝기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사에서 언급한 것처럼 20등급까지의 별을 관측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강력한 망원경으로서 많은 어두운 별들까지도 관찰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맨 눈으로 보이는 6등급 별보다 20등급 별은 매우 어두우므로, 이런 어두운 별들까지 관측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매우 중요하고 흥미로운 일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겉보기등급은 별들의 밝기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이 척도는 별들이 우리로부터 얼마나 밝게 보이는지를 나타내며, 별의 절대 밝기와 거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겉보기등급이 작을수록 별은 더 밝게 보입니다. 예를 들어, 1등급의 별은 2등급의 별보다 더 밝게 보입니다. 겉보기등급은 천문학에서 별들의 밝기를 비교하고 분류하는 데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에는 절대등급과 겉보기 등급이 있습니다. 절대등급은 별의 실제 밝기이며, 겉보기 등급은 지구에서 볼 때 밝기 등급입니다. 만약 지구에서 별을 보았는데, 실제보다 밝다면 가까이 있는것이고, 실제보다 어둡다면 멀리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별의 절대등급은 관측을 통해 알 수 있으며, 겉보기 등급 또한 관측을 통해 알아낼 수 있습니다. 빛의 밝기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줄어드는 원리를 이용하면 별까지 거리를 찾아낼 수도 있죠.
겉보기등급(Apparent Magnitude)은 별이 지구로부터 얼마나 밝게 보이는지를 나타내는 천문학적인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별의 실제 밝기와 거리를 고려하여 계산됩니다.겉보기등급은 숫자로 표시되며, 숫자가 작을수록 별이 더 밝게 보입니다. 예를 들어, 겉보기등급이 1등급인 별은 매우 밝게 보이고, 6등급인 별은 비교적 어두운 별입니다.
겉보기등급은 밝은 별과 어두운 별을 구분하고 비교하는데 사용됩니다. 또한 천체의 변화를 관찰하거나 별들의 밝기 차이를 비교하는데도 사용됩니다.
위에서 인용한 내용에서는 두 개의 거울을 사용하여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성능이 언급되었습니다. 이 성능으로 최대 20등급의 별까지도 관측이 가능하다고 언급되었습니다. 이는 매우 어두운 별까지도 높은 감도로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겉보기등급은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의 천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등급입니다. 겉보기등급이 낮을수록 천체가 밝고, 겉보기등급이 높을수록 천체가 어둡습니다. 겉보기등급은 천체의 밝기와 거리에 따라 달라집니다. 천체가 가까울수록 겉보기등급이 낮고 천체가 멀리 있을수록 겉보기등급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