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관측용 인공지능으로 소행성을 쉽게 찾을수 있을까요?
미국 워싱턴대 연구진은 최근 공식 발표자료를 통해 그동안 존재하는 줄 몰랐던 한 소행성을 자신들이 개발한 우주 관측용 AI로 지난달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새로 확인된 소행성 이름은 ‘2022 SF289’이다. 지름이 180m다. 고층 빌딩 덩치다. 지구와 충돌한다면 대도시에 커다란 인명·재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과연 인공지능으로 소행성을 쉽게 찾을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초반이라 더 많은 기술들이 반영되지 않았지만 AI기술의 발달로 더 많은 소행성이 발견될 것으로 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