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조(좁쌀)은 어떤 식물을 작물화한 건가요?

우리나라는 쌀이 주식이지만 조선 중기 이전까지만 해도 좁쌀이 가장 주된 탄수화물 공급원이었다고 하듼데요.

조는 어떤 식물을 개량해서 작물화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먼저 조의 기원을 알기 위해선 학명을 알아야 하는데, 조는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학명은 'Setaria italica'입니다.

    다만 현재까지 그 기원을 정확히 알지는 못하지만, 강아지풀을 개량하여 작물화한 것이라는 것이 가장 유력한 가설입니다.

    강아지풀은 조와 같은 속(Setaria)에 속하는 야생 식물로, 조와 매우 유사한 형태와 유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전자 분석 결과 조는 강아지풀의 특정 아종을 선택적으로 재배하고 개량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조는 약 1만 년 전부터 중국 북부 지역에서 재배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초기 인류는 강아지풀의 알곡을 식량으로 이용하면서, 알곡이 크고 수확량이 많은 개체를 선별하여 재배하기 시작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지속적인 선별과 재배를 통해 강아지풀은 점차 조의 형태로 진화하였고,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자리 잡은 것이죠.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야생 기장과 식물들 중에 알이 크고 많이 열리는 개체를 선택하여 선택 교배를 진행한 결과입니다. 좁쌀은 가뭄에 강하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 자라던 잡초 같은 기장류를 오랜 시간 걸쳐 개량해서 만든 작물의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조는 '기장속'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기장속 식물은 인류가 재배하기 시작한 오래된 작물 중 하나입니다. 야생 기장속 식물을 개량하고 재배하여 조를 작물화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