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조와 녹조에 부정적인 면에 대한 사실은 많이 접하게 되는데 이들이 발생될때 아니면 이들 생물들에 장점이 있을까요?
적조나 녹조 발생으로 인해 많은 피해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어패류가 폐사하거나 독성에 의한 동물에 피해 등 다양한 피해 사례를 볼수 있는데 반대로 긍정적인 면은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조의 원인이 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대부분은 평상시에는 광합성을 통해 물속 용존산소를 늘리는 역할을 하고, 소형 동식물의 먹이가 되어 생태계를 풍부하게 만들어줍니다.
또한 적당량의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정화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조나 녹조는 물속의 인이나 황같은 영양염류가 높고 온도가 높을 때 이것들을 섭취하는 미세조류가 급격히 번식하는 현상입니다. 이런 영양염류를 소모해서 번식하므로 물 속의 영양염류 쉽게 말해 똥물이 정화되는 이득이 있겠네요. 이 현상을 이용해 일정공간에 녹조를 발생시켜 물을 정화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적당한 플랑크톤은 인간에게 필수한 존재입니다. 대기 중의 산소를 생산하는 것이 식물성 플라크톤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서 가을에 이르기까지 플랑크톤성 생물의 이상증식에 의해 해수가 변색하는 현상을 말하며 액수(厄水), 고조(苦潮), 부수조(腐水潮)라고도 한다. 적조판정기준으로서 해수가 다갈색, 황갈색, 녹색 등으로 변색하는 것, 투명도 1.5m 이하, 클로로필 농도 50mg · m-3 이상, 플랑크톤 수 1,000~10,000cell · mL-1 이상, 현미경에서 다량의 적조플랑크톤의 존재가 인정되는 것 등이 이용되고 있다.
적조플랑크톤으로서 녹조류, 와(渦)편모조류, 황색편모조류, 갈색편모조류, 규조류, 남조류 등이 있으며 크기가 10~500μm인 것이 많다. 적조는 인간활동의 영향을 받은 해안이나 내만에서, 상당한 강우 후 파도가 없고 가뭄이 뒤따른 뒤에 발생하기 쉽다.
적조 발생인자로서는 다량의 질소, 인 등 영양염류 외에 미량원소, 비타민 등 증식촉진물질이 있다. 적조가 발생하면 부영양화 상태에서 플랑크톤이 이상증식한 후 일시에 사멸할 때 수중의 용존산소가 과잉 소모되면서 일대 해역이 빈(貧)산소상태가 된다. 연안양식 어패류의 질식사, 중독사를 일으켜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조는 바닷물에서 발생하고 녹조는 주로 민물에서 발생합니다
원인은 물속 부영양화로 인하여 조류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어류의 폐사를 유발하기도합니다
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생기는 현상으로, 적정 개체수를 유지한다면 플랑크톤이나 어류의 먹이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