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무역에 대해 공부하는 중 '산적화물용적톤' 개념이 어려워 여쭤봅니다

무역에 대해 공부하는 중 '산적화물용적톤' 개념이 어려워 여쭤봅니다. 한자어인거 같은데 여기저기 찾아봐도 잘 이해가 안되서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박재성 관세사
    박재성 관세사
    전북대학교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산적화물(Bulk cargo)은 재래화물이라고 하며, 포장하지 않고 화물 그대로 적재하고 운송하는 화물을 의미합니다. 산적화물에는 대표적으로 대량으로 운송되는 곡물, 광물, 유류 및 목재 등이 있습니다.

    용적 톤(Measurement ton)이란 선박에서 적재 화물의 용적을 기준으로 환산한 무게를 뜻하는 말로, 실제로 배에 실을 수 있는 화물의 용적 계측 단위입니다. 용적톤은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선박 내부의 용적을 40세제곱 피트를 1톤으로 하여 계산한 값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용적톤은 부피로 화물을 측정하는 단위로서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선박 내부의 용적을 40세제곱 피트를 1톤으로 하여 계산한 값을 말합니다.

    산적화물용적톤 (Grain Tonnage)은 선박의 용적은 1㎥ 또는 1ft를 1톤으로 하여 재화용적 톤수(Capacity Tonnage)로 계산하는 개념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포장이 없는 산적화물의 용적톤수와 포장용적톤수(Bale Capacity)가 있습니다.

    이는 일상적으로 중량을 기준으로 운임을 산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운임계산방법에서 중량 뿐 아니라 용적으로도 운임계산을 할수 있는 것을 뜻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산적화물용적톤(Cubic Capacity Ton or Cubic Ton)은 선박이나 차량 등의 운송 수단에서 적재 가능한 화물의 부피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산적화물용적톤은 화물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기준으로 측정됩니다. 한 산적화물용적톤은 1 미터(가로) x 1 미터(세로) x 1 미터(높이) 크기의 공간을 채우는 화물의 양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선박의 적재용적이 10,000 산적화물용적톤이면, 해당 선박은 10,000 개의 1m x 1m x 1m 크기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적재용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우선적으로 산적화물(散積貨物)은 대량으로 운송되는 곡물, 광물, 유류 및 목재 등 운송 도중에 손상될 염려가 적어 포장하지 않은 채 운송하는 화물을 말합니다. 다른 용어로 산화물이나 bulk cargo라고도 합니다.

    상기와 같은 화물은 일반적으로 용적톤(Measurement Ton)을 사용하는데, 선박에서 사용하는 용적톤은 육상에서 사용하는 무게단위와는 다르게 선박의 용적을 입방미터(㎥)로 나타내어 일정한 계수를 곱하여 톤으로 합니다.

    즉, 선박의 용적은 1㎥나 1ft를 1톤으로 하여 재화용적톤수(Capacity Tonnage)로 계산된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선적화물의 운임을 측정할때, 무게가 무거운 중량품은 중량으로 그리고 부피가 무게에 비하여 넓은 경량품은 부피로 운임을 계산하고 있습니다. 이때, 중량을 기준으로 운임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중량톤, 용적으로 운임을 계산하는 경우에는 용적톤이라고 명칭하고 있습니다.

    즉, 선적화물 중량톤이란 선적화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운임이 책정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보통 운임은 화물의 중량에 따라 계산되지만, 별도 포장하지 않은 상태로 대량으로 운송되는 석탄,곡물, 유류 및 목재 등 산적화물 즉 Bulk cargo의 경우 화물의 부피나 공간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산적화물톤수에는 아래와 같은 내용들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 Deadweight Tonnage (DWT) : 선박이 적재 가능한 총 중량

    - Gross Tonnage (GT) : 선박 내부의 부피를 기준으로 산정된 톤수

    - Grain Tonnage : 농작물 등의 분말 상태의 산적화물의 부피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

    - Displacement Tonnage : 선박이 수중에서 밀려올려지는 물의 부피에 해당하는 중량

    - Bale Tonnage : 산적화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

    - Lightship Weight : 선박이 비어 있을 때의 무게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