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왜 지렁이는 빛을 싫어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지렁이는 항상 땅속에 있다가 어두울때나 비가오는 흐린날에만 땅 밖으로 나온다고 하는데요.
왜 지렁이는 빛을 싫어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지렁이의 독특한 호흡방식 때문입니다.
지렁이는 사람의 허파 같은 호흡 기관이 따로 없고 축축한 피부를 통해 직접 산소를 흡수하며 숨을 쉽니다. 햇빛이 강하게 비추는 낮에는 땅이 매우 건조한데, 지렁이가 이러한 환경에 노출되면 피부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여 호흡을 할 수 없게 되고 결국 죽게 됩니다.
그래서 지렁이는 몸의 수분을 유지하고 안전하게 호흡하기 위해 습도가 높은 땅속이나 어두운 밤, 비가 오는 흐린 날에 주로 활동하는 것입니다.
지렁이는 피부 호흡을 하기 때문에 몸 표면이 항상 촉촉해야 합니다. 밝은 빛 아래에서는 몸의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여 호흡하기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지렁이는 빛을 피하고 습한 환경을 선호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지렁이는 피부를 통해 산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항상 촉촉한 환경이 필요하며, 햇빛에 노출되면 피부가 말라 죽을 수 있고 포식자에게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어둡고 습한 곳을 선호하는 본능적인 생존 행동으로 빛을 피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