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거대한떄까치125
거대한떄까치125

트럼프 관세 정책에 대해 궁금하네 요.

트럼프 관세 정책에 대해서 우리나라에 미치는영향에 대해 특히 미국에서 주문생산하는 회사가 받는 영향력 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2025년 관세 정책은 한국 경제, 특히 미국에서 주문생산(OEM/ODM)을 수행하는 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4월 26일 기준, 미국은 한국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했으나 90일간 10%로 유예했으며, 자동차·부품(25%), 반도체(예정) 등 주요 품목에 추가 관세를 검토 중입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2024년 1200억 달러, 전체 20%)은 자동차(347억 달러)와 전자제품이 주도하는데, 상호관세 시행 시 대미 수출은 15~20% 감소(180~240억 달러)할 전망입니다. 미국에서 주문생산하는 한국 기업(예: 현대차, LG전자)은 현지 생산 비율(현대차 60%)로 관세 영향을 일부 완화하지만, 한국산 부품 수입에 대한 관세(8~25%)로 원가가 10~15% 상승하며, 이는 수익성 악화와 가격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미국 주문생산 기업은 추가적인 리스크와 전략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관세로 인해 현지 조달 비용이 증가하며, 예를 들어 GM코리아는 한국산 부품(80% 수출)에 대한 관세로 생산비가 12%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계약 단가 조정(5~10% 인상)이나 현지 생산 확대(투자비 5억 달러 이상)를 요구하며, 중소기업은 자금 부족으로 어려움이 가중됩니다. 또한, 중국(145% 관세)과 EU(20%)의 보복관세로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면서, 한국 기업은 대체 시장(아세안, 인도) 개척이 필수적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우리나라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미국에서 주문생산하는 회사들은 생산비용 상승과 공급망 불안정이라는 부담을 겪게 되었습니다. 철강, 알루미늄, 일부 제조품에 고율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한국 기업은 미국 내 생산이나 추가 투자 압박을 받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원가 절감이 어려워졌습니다. 또한 생산 지연이나 계약 조건 변경 등으로 인해 대미 수출 일정에도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