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

빈대는 왜 모기와 달리 전염병같은것을 옮기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빈대는 모기와 달리 흡혈을 해서 전염병을 특별히 옮긴다고 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모기는 여러 질병을 옮기기도 하는데 빈대는 왜 그렇지 않은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빈대는 모기와 달리 전염병을 옮기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빈대와 모기는 흡혈하는 방식과 행동 패턴이 다릅니다. 빈대는 주로 밤에 활동하며, 한 번 문 곳 근처에서 계속 흡혈합니다. 빈대는 피를 빨아먹는 동안에는 병원체를 옮기지 않습니다. 빈대가 문 상처는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염병을 옮기는 벡터로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모기는 낮과 밤 모두 활동하며, 여러 번 다른 숙주에게 흡혈합니다. 모기는 피를 빨아먹는 과정에서 병원체를 숙주에게 주입하거나, 감염된 숙주의 피를 빨아먹으면서 병원체를 획득합니다. 모기는 말라리아, 뎅기열, 황열,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감염증 등 여러 가지 전염병을 옮기는 주요 벡터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빈대와 모기의 전염병 옮기는 차이는 흡혈하는 방식과 행동 패턴에 기인합니다. 빈대는 전염병을 옮기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모기에 비하면 매우 드물고, 증거가 부족합니다. 모기는 전염병을 옮기는 가능성이 높고, 증거가 많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모기의 경우 날아다니면서 여러 동물 및 사람의 피를 흡혈함으로써 전염병을 퍼트릴 수 있는것이고 빈대는 흡혈을 하더라고 먼거리를 이동할 수 없음으로 전염병을 옮길 확률이 지극히 적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직 밝혀지지 않은것 뿐이지 실제로는 모르는 세균과 바이러스를 옮길 수도 있으니 빈대에 물리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빈대는 모기와 달리 감염병을 옮기는 매개체는 아닙니다.

      대표적인 해충, 혐충인 모기와 바퀴벌레는 인류에게 치명적인 전염병을 옮기고 그 인식이 매우 안 좋기 때문에 지금도 꾸준히 퇴치와 예방법을 모색하고 있지만 빈대는 이미 대부분 박멸되었거나 보기 드물어진 나라에서는 발견 자체가 드물며 피해가 있더라도 사람을 죽이는 정도는 아니며 생활이 조금 피폐해지는 것에 그친다는 인식 때문에 그 경각심이 크지 않아 미미한 초기대처로 피해를 더 키우는 측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의 피를 빨아먹는 해충인 건 분명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빈대는 모기와 달리 전염병을 옮기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침을 통해 감염되지 않는 병원체를 옮기지 않습니다.

      빈대는 모기와 달리 침을 통해 혈액을 빨아먹습니다. 모기는 침을 통해 혈액을 빨아먹을 때, 함께 병원체를 옮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빈대는 침을 통해 혈액을 빨아먹을 때, 병원체를 옮길 수 없습니다.

      • 짧은 시간 동안 흡혈을 합니다.

      빈대는 한 번에 10분 정도만 흡혈합니다. 모기는 한 번에 30분 이상 흡혈할 수 있습니다. 빈대는 짧은 시간 동안 흡혈하기 때문에, 병원체를 옮길 가능성이 적습니다.

      • 동물에게 주로 기생합니다.

      빈대는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기생합니다. 모기는 사람에게만 기생합니다. 동물에게 기생하는 빈대는 사람에게 전염병을 옮길 가능성이 적습니다.

      물론, 빈대가 전염병을 옮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빈대가 옮기는 페스트는 중세 유럽에서 대규모 전염병을 일으켰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일반적으로 빈대는 모기와 달리 전염병을 옮기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빈대의 먹이 선호도: 빈대는 주로 식물의 잎이나 나뭇가지를 먹는 식물성 유충입니다. 빈대가 주로 식물을 먹기 때문에, 전염병을 운반하고 옮기기 위해 필요한 조건인 병원체를 흡혈하거나 전염시키는 행동이 없습니다.

      2. 빈대의 생리적 특성: 빈대는 모기와는 생리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기는 피를 흡입하여 생존하고 번식하는데 필요한 단백질을 얻기 위해 동물의 피를 먹습니다. 따라서 모기는 피를 흡입하며 동물에게서 전염병을 효과적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반면, 빈대는 식물을 먹는 생물로서, 피를 흡입하는 행동이나 동물의 피를 통한 병균 전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