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천리마 운동은 어떠한 내용입니까
북한은 대한민국과 체제 경쟁에서 뒤 주지 않기 위해서 다양한 운동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많이 들어본 천리마 운동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리마 운동은
북한의 경제발전을 위해 추진한 사회 운동입니다.
1950년대 후반부터 북한에서 일어난 노력 동원 및 사상 개조 운동입니다.
천리마란 하루에 1,000리(400킬로미터)를 달릴 수 있을 정도로 좋은 말을 뜻합니다.
즉, 천리마를 탄 것과 같은 마음가짐으로 열심히 일해 나라 발전에 이바지하자는 뜻으로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북한의 경제 발전 계획의 하나로, 하루에 천리를 달리는 천리마처럼 빠르게 경제를 발전시킨다는 뜻입니다.
북한은 1972년 헌법을 개정하며 천리마운동은 사회주의 건설의 총노선이다라는 문구를 넣고 이 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나, 노동력 강화를 중요시한 나머지 기술 개발에 소홀했고, 북한 경제가 세계와 고립되면서 점차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리마 운동은 1958년 9월 평양 에서 열린 ‘전국생산혁신자대회’를 계기로 북한 전체 근로자의 노력경쟁운동으로 본격화되었다고 합니다. 그뒤 이 운동은 1959년 3월 강선제강소의 진응원이라는 사람이 천리마작업반운동을 발기함으로써, 공장뿐 아니라 기업체·농장·학교 등 모든 분야에서 노력 경쟁운동 형태로 확산되었다고 합니다. 주요 골자는 사상 교양 과 대중 동원을 통한 생산운동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리마운동
한국전쟁 이후 경제의 복구건설을 위한 자본, 물자, 기술 모든 것이 부족했던 북한에서 당이 의존할 수 있었던 유일한 자산은 대중들의 힘이었다. 그 때문에 당은 항상 '혁명적 군중노선', '혁명적 사업방법', '인민적 사업작풍'을 강조하면서 궁중 속에 들어가 그들의 자각성과 창발성을 동원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 같은 맥락에서 출발하여 마침내는 북한에서 사회주의건설의 총노선으로까지 자리잡게 된 것이 천리마운동이었다.
1958년부터 본격화된 천리마운동은 대중들의 증산의욕을 고취시키는 사회주의적 노동경쟁운동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북한은 천리마운동을 "경제와 문화, 사상과 도덕의 모든 분야에서 온갖 뒤떨어진 것을 쓸어버리고 끊임없이 혁신을 일으키며 사회주의건설을 비상히 촉진시키는 우리나라 수백만 근로자들의 일대 혁명운동"이며, 이 노선의 본질은 "모든 근로자들을 공산주의사상으로 교양 개조하여 당 주위에 더욱 굳게 묶어세우며 그들의 혁명적 열의와 창조적 재능을 높이 발양시켜 사회주의를 더 잘, 더 빨리 건설하는 데 있다"고 주장했다.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회주의 경쟁운동의 하나로서 1958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실시배경은 당시 ‘3개년계획(1954∼1956)’의 수행으로 전후 복구 건설이 어느 정도 달성되었으므로, 이 바탕 위에서 새로운 ‘인민경제5개년계획(1957∼1961)’을 실시하려고 1956년 김일성(金日成)이 소련과 동유럽을 순방하면서 원조를 요청하였으나 성과를 얻지 못함에 따라, 부득이 자체적으로 추진할 수밖에 없었던 데에 있다.
5개년계획을 자체적으로 추진하자면 내부적인 예비자원이 동원되어야 하고, 또한 절약을 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1956년 12월에 열린 당전원회의에서는 ‘최대한의 증산과 절약’을 내세워 종래의 노력경쟁운동을 한층 강화하기로 방침을 세웠으며, 이에 따라 평남청년탄광돌격대·강계청년발전소돌격대·청년철도건설돌격대 등을 동원, 경쟁을 통한 노동강화운동을 벌였다.
이들 돌격대의 노동강화운동을 모범으로 삼아 발달된 이 운동은 1958년 9월평양에서 열린 ‘전국생산혁신자대회’를 계기로 북한 전체근로자의 노력경쟁운동으로 본격화되었다. 그뒤 이 운동은 1959년 3월강선제강소(降仙製鋼所 : 현재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의 진응원(陳應元)이라는 사람이 천리마작업반운동을 발기함으로써 공장뿐 아니라, 기업체·농장·학교 등 전분야에서 노력경쟁운동 형태로 확산되었다.
그리하여 이 운동에 따른 천리마시대·천리마속도·천리마직장·천리마기수·이중천리마작업반 등 숱한 용어와 훈장·칭호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노동강화운동의 한계성에 따라 천리마운동이 퇴색하는 기색이 나타나기 시작하자, 1976년부터는 ‘3대혁명 붉은기쟁취운동’이라는 또 다른 이름의 경쟁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다시 한번 천리마를 타라.” 등 ‘새로운 천리마속도 창조운동’을 대중으로 전개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리마 운동 > 북한의 대중동원 운동이자 사회 운동의 하나 입니다.
노동자에 대한 독려와 경쟁을 통하여 생산량 증대와 속도전의 꾀하고자 하였습니다.
즉, 북한의 경제 발전 계획의 하나로 하루에 천리를 달리는 천리마처럼 빠르게 경제를 발전시키자는 뜻 입니다. 북한은 1972년 헌법을 개정하여 천리마 운동은 사회주의 건설의 총노선 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하루에 천리(약 400km)를 달리는 준마를 의미하는 천리마(千里馬)는 북한의 경제 현장이나 사회 각 부문에서 전개된 이른바 노력경쟁운동의 대명사가 됐다.
천리마운동은 전후 복구 건설 시기인 1956년 12월 열린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김일성 당시 수상이 ‘사회주의 건설에서 혁명적 대고조를 일으키기 위하여’란 연설을 통해 주창했다. 한때 우리 귀에도 익숙했던 ‘천 삽 뜨고 허리 한 번 펴기’나 ‘새벽별 보기’ 등이 모두 천리마운동에서 파생된 노력경쟁운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