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천리마 운동이라는 것이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천리마 운동이라는 것이 무엇인가요?

천리마 운동이 일어나게 된 곳은 어디이며

일어나게 된 계기나 상황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53년 한국전쟁이 휴전으로 끝난 이후 북한은 전후재건 과정을 거쳐야 했다. 무엇보다 3년간 지속된 미군 폭격으로 인한 피해가 너무나도 극심했고[1], 산업기반이 초토화된 상태였다. 이에 따라 전후재건을 통해 급속도로 성장을 이룩했다.

      천리마 운동의 실시배경은 당시 ‘3개년계획(1954∼1956)’의 수행으로 전후 복구 건설이 어느 정도 달성되었으므로, 이 바탕 위에서 새로운 ‘인민경제 5개년계획(1957∼1961)’을 실시하려고 1956년 김일성(金日成)이 소련과 동유럽을 순방하면서 원조를 요청하였으나 큰 성과를 얻지 못함에 따라 부득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추진할 수밖에 없었던 데에 있다.

      5개년계획을 자체적으로 추진하자면 내부적인 예비자원이 총동원되어야 하고, 또한 절약을 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1956년 12월에 열린 당전원회의에서는 ‘최대한의 증산과 절약’을 내세워 종래의 노력경쟁운동을 한층 강화하기로 방침을 세웠으며, 이에 따라 평남청년탄광돌격대·강계청년발전소돌격대·청년철도건설돌격대 등을 동원, 독려와 경쟁을 통한 노동강화운동을 벌였다.

      이들 돌격대의 노동강화운동을 모범으로 삼아 발달된 이 운동은 대숙청 이후 1958년 9월 평양에서 열린 ‘전국생산혁신자대회’를 계기로 북한 전체 근로자의 노력경쟁운동으로 본격화되었다. 그뒤 이 운동은 1959년 3월 강선제강소(이후 천리마제강소로 이름을 바꿨다)의 진응원이라는 사람이 천리마작업반운동을 발기함으로써, 공장뿐 아니라 기업체·농장·학교 등 모든 분야에서 노력경쟁운동 형태로 확산되었다.

      주요 골자는 사상 교양과 대중 동원을 통한 생산운동이다. 과거형으로 안 쓴 이유는 현재진행형이기 때문. 한편, 최근에는 “다시 한번 천리마를 타라.” 등 ‘새로운 천리마속도 창조운동’을 대중으로 전개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서는 표어가 "자강력 제일주의를 높이 발휘하라!"로, 만리마 운동(...)이라는 이름만 바뀐 형태로 선동하고 있다. 그러나 70일 전투를 베낀 100일, 200일 전투 등등 김일성 시대의 구호와 주민 동원을 재탕할 뿐 질적인 경제 성장은 커녕 정체하고 있다.

      정부가 주도하여 보급하는 사상을 기반으로 한 생산성 향상 운동으로서 남한의 새마을운동의 비교대상으로 간간히 거론되곤 한다.

      여담으로 천리마 운동을 바탕으로 작사 및 작곡된 노래가 천리마 달린다.

      출처: 나무위키 천리마 운동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리마운동은 북한의 대중동원운동이자 사회운동의 하나로 노동자들에 대한 독려와 경쟁을 통해 생산량 증대와 속도전을 꾀하고자 했습니다.

      1953년 한국전쟁이 휴전으로 끝난 이후 북한은 전후재건 과정을 거쳐야했고 무엇보다 3년간 지속된 미군 폭격으로 인한 피해가 극심했고 산업기반이 초토화된 상태여서 전후 재건을 통해 급속도로 성장을 이룩합니다.

      천리마 운동의 실시배경은 당시 3개년계획의 수행으로 전후 복구 건설이 어느정도 달성되어 이 바탕위에서 새로운 인민경제 5개년계획을 실시하려고 1956년 김일성이 소련과 동유럽을 순방하며 원조를 요청하나 큰 성과를 얻지 못해 부득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추진할수 없었습니다.

      5개년계획을 자체적으로 추진하자면 내부적인 예비자원이 총동원되어야 하고 또 절약을 할수 밖에 없어 1956년 12월에 열린 당전원회의에서 최대한의 증산과 절약을 내세워 종래의 노력경쟁운동을 한층 강화하기로 방침을 세우고 이에 따라 평남청년탄광돌격대, 강계청년발선소돌격대, 청년청도건설돌격대 등을 동원, 독려와 경쟁을 통한 노동강화운동을 벌였습니다.

      이들 돌격대의 노동강화운동을 모범을 삼아 발달된 이 운동은 대숙청 이후 1958년 9월 평양에서 열린 전국생산혁신자대회를 계기로 북한 전체 근로자의 노력경쟁운동으로 본격화되었고 그 뒤 이운동은 1959년 3월 강선제강소의 진응원이라는 사람이 천리마작업반운동을 발기함으로 공장 , 기업체, 농장, 학교 등 모든 분야에서 노력경쟁운동 형태로 확산됩니다.

      주요 골자는 사상 교양과 대중동원을 통한 생산운동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50년 한국전쟁 후 북한에서 피폐해진 국토와 경제, 문화, 사상, 도덕 등

      사회개혁과 생산 증대를 위하여 벌였던 민중운동으로

      하루에 천 리를 달리는 말과 같은 기세로 사회주의 건설에서 박차를 가하자는 뜻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북한은 인민들의 노동력을 착취하기 위해 속도전이니 천리마운동이니 하는 군중 동원 노동을 강조하여 노동력을 착취하고 있습니다. 천리마처럼 하루 노동량을 정하고 천삽 뜨고 한 번 허리펴기 새벽별 보기 운동 등을 전개해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