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소탈한여치99
소탈한여치99

러시아와의 무역 관계는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인데요. 러시아와 대한민국 간의 무역 관계는 현재 어떠한 상황인지 궁금하고, 교역의 주요 품목과 교역량의 변화 추이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다음의 우리나라 대러 교역현황 기사 첨부드리오니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한국의 대러 수출은 36.6% 줄었다. 미국(-73.2%)이나 영국(-63.7%)·독일(-49.7%) 등보다는 감소 폭이 작고, 일본(-41.4%), 대만(-37.2%)과 비슷한 수준이다. 한국의 대러 수출 감소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분야에서 주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자동차부품 수출 감소가 대러 수출 감소분의 70.4%를 차지했다. 지난해 중국의 대러 수출은 차량 관련 쪽의 증가에 힘입어 12.8% 늘었으며, 튀르키예의 대러 수출은 석유제품과 농수산물 분야의 증가로 55.1% 늘었다.

    한국의 대러 수입은 14.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67.4%), 미국(-51.3%)에 견줘선 감소 폭이 작았다. 대러 수입이 증가한 나라는 러시아산 에너지 도입을 할 수밖에 없는 유럽연합(EU)이나 인도(337.6%), 중국(43.2%)처럼 러시아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무역협회는 러-우 전쟁에 따라 반사이익을 거둔 대표적인 나라로 중국, 인도, 튀르키예, 브라질 등 4개국을 꼽았다. 특히 중국은 한국, 독일의 대러 제조상품 수출을 대체하면서 자동차·부품, 타이어, 굴착기, 트랙터, 플라스틱, 합성수지 수출을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러-우 전쟁은 세계 경제 전반에 타격을 주며 세계 경제 성장률을 1%포인트 끌어내린 것으로 분석된다고 무협은 밝혔다. 2022년 글로벌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지난해 2월에 터진 러-우 전쟁 이전에는 4.4%로 예상됐는데, 현재 기준 추정치가 3.4%(IMF 2월 추정)라는 데 바탕을 두고 있다. 무협은 세계무역기구(WTO) 자료를 인용해, 세계 교역물량 증가율은 러-우 전쟁 이전의 애초 전망 4.7%보다 대폭 떨어진 3.5%로 낮아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출처 : 한겨례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러시아 전쟁으로 인하여 러시아로의 운송경로는 대부분 막혀있다고 보시면 되며, 여기에 추가적으로 미국의 FDPR규제로 인하여 전자제품 및 첨단제품은 수출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23년을 기준으로 수입은 원유 수입이 대부분이며 총 수입액은 약 50억불입니다. 수출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되며, 그나마 수출된 품목은 84류의 기계류 물품들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와 러시아의 교역액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이 시작된 2022년 이후 감소하였습니다.

    러시아의 2021년 수출액은 약 1,000,000천 달러(불)의 수출이 이루어졌지만 2022년에는 약 6,300,000천 달러(불)의 수입만 이루어졌습니다. 수입에 대해서도 감소가 이루어졌습니다.

    현재는 2022년에 비해 조금은 수출액이 늘어난 추세입니다만, 수입액은 대폭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무역통계는 2023년 6월까지 나와있는데 수입액이 약 4,945,000천 달러(불)로 작년에 비해 거의 1/3수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러시아에서의 수입액 자체가 많이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