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23.10.28

겨울새들은 물위에서 춥지 않고 떠있는데 다리가 춥지 않나요?

겨울이 되면 추운 얼음물위에 헤엄치고 다니는 새들이 있는데요. 몽통부위는 떨이 보호해 주지만 다리부위는 추울텐데 버티는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것 처럼 새들은 일반적으로 몸통 부분이 깃털로 덮여 있으며, 이 깃털은 온도를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몸통 부분의 깃털은 보온성을 제공하고 추위로부터 보호합니다.

    그리고 새들은 혈액 순환 시스템을 특수화하여 다리와 발에 혈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추운 환경에서 혈액 순환을 제한함으로써 다리와 발을 충분히 따뜻하게 유지합니다. 또한 수영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활발하게 물에서 움직이며 수영합니다. 이것은 다리와 발을 움직이면서 혈류를 활성화시키고 결국 열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의 신체 구조상 물에 의해 차가워지는 속도보다 피가 돌아 따뜻해 지는 속도가 더 큰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로인해 추운날에도 물에 발을 담그고 있을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오리와 같은 새들은 차가운 물위를 떠다니는데 아무 이상이 없습니다. 그이유는 먼저 기본적으로 이런 새들의 체온은 높다고 합니다. 사람이 36.5도 이면 이런새들은 40도라고 합니다. 또한 바다위를 떠다닐수 있는 이유는 동맥과 정맥이 가깝게 붙어 있어서 입니다. 심장에서 나온 따뜻한 동맥이 다리로 가면서 주위에 온도로 인해서 차가워지고 다시 정맥으로 돌아오는데요. 사람의 경우 심장으로 돌아오는 정맥이 차가워져서 체온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런 새들은 동맥과 정맥이 근접하고 일부 부위에서는 얽혀 있어서 동맥의 따뜻함이 차가운 정맥에 전달되면서 일정 체온이 유지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혈액 순환: 새들의 다리에는 혈액 순환을 돕는 특별한 구조가 있습니다. 혈관들이 서로 교차하며 혈액을 지속적으로 지방으로 공급함으로써, 몸의 열이 다리로 전달되어 춥지 않게 합니다.

    2. 열 방출: 새들은 다리로부터 열을 방출하는 특별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리의 피부와 깃털이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다리에 열이 쌓이지 않고 바로 방출됩니다.

    3. 물 위에서의 특별한 동작: 겨울에 물 위에서 떠 있는 새들은 다리를 수시로 움직여서 다리의 근육을 활성화시킵니다. 이렇게 움직이면서 근육이 활발하게 작동하므로, 열을 생성하고 다리를 춥지 않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새의 다리는 동맥과 정맥이 가까이 위치해 있어서 혈액에 의해 열교환이 일어나기 때문에 추위를 버티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다리속 동맥과 정맥이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있어, 서로 열교환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체온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또한 새의 다리와 발은 비교적 딱딱한 조직으로 되어있어 동상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