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활발한당나귀246
활발한당나귀246

한미 상호관세 인하, 한국 기업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춘 이번 조치가 한국 수출기업과 무역 전체에 가져올 긍정적부정적 효과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이번에 미국이 우리나라 제품에 대한 관세를 25퍼센트에서 15퍼센트로 낮췄다는 조치, 숫자만 보면 긍정적으로 들리지만, 실제 현장에서 체감되는 영향은 좀 더 복잡합니다. 우선 긍정적인 면부터 보면, 관세 인하 자체가 곧바로 단가 경쟁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수출단가 유지하면서도 마진 확보가 가능해졌다는 점, 그리고 미국 바이어들이 한국산을 선택할 유인이 다시 생겼다는 건 분명한 효과입니다. 특히 철강, 자동차 부품, 화학소재 같은 고관세 품목 위주로 수출하는 기업은 납품계약 재개나 물량 확대 기대도 생길 수 있습니다.

    다만, 부정적 측면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이 인하 조치가 일시적이거나 조건부라면 기업 입장에서는 중장기 생산계획이나 설비투자에 신중해질 수밖에 없고, 또 다른 국가들과의 형평성 문제, 예컨대 멕시코나 베트남처럼 이미 무관세 체제를 누리고 있는 경쟁국들과 비교하면 여전히 불리한 위치라는 점도 존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낮추면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수출이 늘 가능성이 큽니다. 자동차, 상호관세 대상물품으로서 기존에 부담이 컸던 품목에서 효과가 특히 기대됩니다. 다만 그 외 관세정책의 변화는 없기에 변동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당분간 시장 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일단 많은 기업들이 관세가 확정되었기에 최대한 많은 물량을 통관하고자할 듯 합니다. 그리고 자동차 역시도 관세가 감소하였기에 미뤄두었던 통관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울러, 이러한 관세의 전가를 어느정도 범위에서 실시할지는 각 기업의 판단에 따라야될 듯 하며 이러한 관세로 인하여 매출, 영업이익이 실질적으로 감소할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