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상호관세 인하, 한국 기업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춘 이번 조치가 한국 수출기업과 무역 전체에 가져올 긍정적부정적 효과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이번에 미국이 우리나라 제품에 대한 관세를 25퍼센트에서 15퍼센트로 낮췄다는 조치, 숫자만 보면 긍정적으로 들리지만, 실제 현장에서 체감되는 영향은 좀 더 복잡합니다. 우선 긍정적인 면부터 보면, 관세 인하 자체가 곧바로 단가 경쟁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수출단가 유지하면서도 마진 확보가 가능해졌다는 점, 그리고 미국 바이어들이 한국산을 선택할 유인이 다시 생겼다는 건 분명한 효과입니다. 특히 철강, 자동차 부품, 화학소재 같은 고관세 품목 위주로 수출하는 기업은 납품계약 재개나 물량 확대 기대도 생길 수 있습니다.
다만, 부정적 측면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이 인하 조치가 일시적이거나 조건부라면 기업 입장에서는 중장기 생산계획이나 설비투자에 신중해질 수밖에 없고, 또 다른 국가들과의 형평성 문제, 예컨대 멕시코나 베트남처럼 이미 무관세 체제를 누리고 있는 경쟁국들과 비교하면 여전히 불리한 위치라는 점도 존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낮추면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수출이 늘 가능성이 큽니다. 자동차, 상호관세 대상물품으로서 기존에 부담이 컸던 품목에서 효과가 특히 기대됩니다. 다만 그 외 관세정책의 변화는 없기에 변동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당분간 시장 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일단 많은 기업들이 관세가 확정되었기에 최대한 많은 물량을 통관하고자할 듯 합니다. 그리고 자동차 역시도 관세가 감소하였기에 미뤄두었던 통관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울러, 이러한 관세의 전가를 어느정도 범위에서 실시할지는 각 기업의 판단에 따라야될 듯 하며 이러한 관세로 인하여 매출, 영업이익이 실질적으로 감소할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