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중세시대에서는 비만을 왜 악의 근원으로 보았나요?

중세시대에는 비만을 일종의 악의 근원으로 보았다고 들엇는데요.

그렇다면 왜 비만이라는것을 매우 부정적으로 보고 악의 근원이라는 시각으로 본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시대에는 비만이 일종의 악의 근원으로 여겨졌던 이유는 종교적인 영향이 큽니다. 중세시대에는 기독교 교리가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성경에서는 인간의 몸을 신의 창조물로 간주하고,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신체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비만은 이러한 균형을 파괴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이로 인해 비만은 일종의 죄로 여겨지게 되었습니다. 또한, 중세시대에는 노동력이 중요한 가치로 여겨졌기 때문에, 비만한 사람들은 노동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시선을 받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시대에는 비만을 악의 근원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영주들은 건재함을 보이기 위해 많이 먹는 것이 선호되었으며, 설탕은 만능 치료 약으로 사용되어 기침이나 위장질환, 가슴 통증, 흑사병의 치료제로 처방되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원 후 유럽에 기독교가 등장하게 되면서 질병은 죄 때문에 신이 내린 벌이라는 사회 패러다임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이에 3단논리가 나오는데 질병은 죄 때문이고, 비만은 질병을 일으키니 고로 비만은 죄다 라는 논리가 적용됩니다.

      이에 나태나 타욕의 결과가 지방이니 지방에 붙어있는 비만은 악마에게 영혼을 판 증거다 라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에 사회와 종교가 비만을 죄악시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 시대에는 비만이 악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기독교의 영향으로 인해, 신앙심이 깊은 사람들이 자신의 몸을 통제하지 못하는 것은 죄악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비만은 건강에 해로운 것으로 여겨졌으며, 비만이 아닌 마른 몸이 건강하다고 여겨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