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에 사는 물고기는 바다에가서도 살수있나요?
민물에 사는 물고기가 있고 바다에 사는 물고기가 있는데 이
물고기들은 서로 다른환경에서 살게 된다면 살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민물에 사는 물고기가 바다에서 살려면 여러 가지 생리적 조정을 해야 합니다. 민물과 바닷물의 가장 큰 차이는 염분의 농도입니다. 바닷물은 염분이 높기 때문에 민물에서 사는 물고기가 바다로 이동하면 그들의 몸속 물이 주변 환경으로 빠져나가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탈수 현상을 초래하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살기 위해서 물고기는 염분을 조절할 수 있는 특별한 생리적 기전을 개발해야 합니다.
반대로, 바다에 사는 물고기가 민물에서 살려면 또 다른 종류의 조절이 필요합니다. 바다 물고기는 주로 몸의 염분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민물 환경에서는 몸에 있는 소금이 주변 물로 빠져나가려고 하기 때문에, 바닷물 물고기도 이를 막기 위한 조정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일부 물고기 종은 이러한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컨데, 연어와 같은 어류는 일생 동안 민물과 바닷물 사이를 이동하며 살아가는 회귀성(Anadromous) 어류입니다. 연어는 바다에서 성장하고 성숙한 후 민물로 돌아와 산란합니다. 이 과정에서 연어는 바닷물과 민물에서의 생활에 필요한 생리적 변화를 겪습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대부분의 민물고기는 바닷물에서 살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민물고기와 바닷물고기는 각자 사는 환경에 맞춰 몸이 다르게 진화했기 때문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삼투압 현상입니다. 민물고기의 몸속은 바닷물보다 염분 농도가 낮습니다. 바닷물에 들어가면 몸속의 물이 밖으로 빠져나가고 탈수 현상이 일어나 죽는 것이죠. 그리고 아가미는 물속의 산소를 흡수하는 중요한 기관인데, 민물고기의 아가미는 민물에서 효율적으로 작용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에 염분 농도가 높은 바닷물에서는 제대로 기능하지 못합니다.
물론 예외도 있습니다.
모든 민물고기가 바닷물에서 살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물고기들은 민물과 바닷물을 오가며 살 수 있는데, 이런 물고기를 기수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연어나 숭어처럼 어릴 때는 바다에서 살다가 성장하면서 민물로 올라와 번식하는 물고기들이 대표적입니다.
민물에 사는 물고기는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살 수 없고, 반대로 바다에 사는 물고기도 민물에서 생존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물고기의 체내 염분 농도 조절 능력이 각각의 환경에 맞게 진화했기 때문입니다. 민물고기는 낮은 염분 농도에 적응되어 있어 바다처럼 염분이 높은 환경에서는 탈수 현상을 겪고, 바다물고기는 높은 염분에 적응되어 있어 민물에서 체내 염분이 과도하게 희석되어 생존이 어렵습니다. 다만, 연어처럼 양쪽 환경에서 모두 생활할 수 있는 일부 예외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민물에 사는 물고기가 바다에 가서 살 수 있는지는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대부분의 민물고기는 염분 농도가 높은 바다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생존할 수 없습니다. 민물고기는 일반적으로 염분 농도가 낮은 환경에서 살아가도록 진화했기 때문에, 바다의 염분에 노출되면 탈수나 스트레스를 겪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우선 결론적으로는 어렵습니다.
두 물고기 종 모두 현재 생태계에 적응을 하여서 바닷물과 강물은 다르기 때문이죠
그런데 계속해서 진화를 하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민물고기들은 바다에서 살수없고, 반대로 대부분의 바다물고기는 민물에서 살수없습니다.
그 이유는 민물과 바닷물의 염분농도차이때문인데, 이렇게 염분을 비롯한 전해질의 농도가 다른 환경에서는 삼투압이 다르게적용됩니다.
삼투현상은은 물분자만 통과할수있는 어떠한 막을 사이에두고 양쪽 용액에 전해질 농도차이가 있을 때 물분자가 농도 차이평형을 맞추기위해 이동하는 현상입니다. 이렇게 이동해서 물의 수위가 챙가나고 물 수위에 차이에따른 압력차이가 바로 삼투압입니다. 어찌되었든 물이 평형을 맞추기 위해 이동한다는게 핵심입니다.
민물고기는 민물 전해질농도에 신체조직의 농도도 맞추어져있기때문에 바닷물에가면 몸속의 물들이 몸에서 빠져나가 전해질평형을 맞추려고합니다. 반대로 바다물고기는 민물에오면 민물의 수분이 체내로 유입되려합니다.
이러한 작용들때문에 원래갖고있던 생체반응들이 달라져 생명을 오래 유지할 수 없게됩니다.
이와는 다르게 두 물종류를 왓다갔다하며 사는 동물도존재합니다. 연어는 민물에서태어나 바다로가서 활동하다가 다시 민물어와서 알을낳고 죽습니다.
그렇기때문에 민물에서 바닷물에가거나 바닷물에서 민물로진입하기전 두 물이 만나는공간에서 약 일주일정도 대기하며 체질개조를 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이러한 작용을통해 두 물에서 모두 살 수 있게됩니다.
안녕하세요.
바닷고기를 민물에 넣거나, 민물고기를 바닷물에 넣으면 살지 못하고 죽는데요, 이는 '농도차에 의한 삼투현상' 때문입니다. 전체 어류의 약 58%는 염분 농도가 높은 바다에서, 나머지 41% 정도는 강, 호수 등의 민물(담수)에서 서식하며, 나머지 1% 정도만이 바다에서 살다가 알을 낳기위해 하천으로 올라오는 연어와 같은 물고기로, 바닷물과 민물에서 둘 다 서식할 수 있습니다. 삼투현상을 세포에 적용해보자면, 세포막 외부의 농도가 더 높으면 세포 내부의 물이 밖으로 빠져나가면서 세포가 쪼그라들게 되며, 세포막 외부의 농도가 더 낮을 경우 세포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세포가 부풀거나 터질 수 있습니다. 바닷고기의 경우 염분농도가 높은 바닷물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삼투현상에 몸이 적응되어 있기 때문에 몸속 염분농도가 민물고기보다 높습니다. 바닷고기를 염분농도가 낮은 민물에 넣게 될 경우 계속해서 체내로 물이 들어오게 됩니다. 반대로 민물고기를 바닷물에 넣을 경우에도 물을 주변 바다로 계속 배출하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바닷고기는 민물에서 살 수 없고, 민물고기도 바닷물에서 살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민물에 사는 물고기와 바다에 사는 물고기는 각자의 환경에 적응하여 진화해왔기 때문에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살아가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민물에 사는 물고기들은 담수를 사는데 적응하여 염분이 낮은 환경에서 생존하며, 이에 맞게 생리학적으로 적응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바다에 사는 물고기들은 해수를 살아가는데 적응하여 염분이 높은 환경에서 살아가기에 적합한 생리적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결론적으로 민물고기는 바다에서 살 수 없습니다.
민물고기와 바닷물고기는 각각 다른 환경에서 살수있도록 진화했는데요.
염도가 높은 바다에서 사는 바닷물고기의 체액 농도와 민물고기의 체액의 농도가 달라 민물고기가 바다에 들어가면 삼투압으로 인해 수분이 모조리 빠져나가 살 수 없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