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대전당시 중립국이었던 포르투갈은 이후에도 크게 경제적으로 발전이 더디면서 선진국의 반열에 오르지 못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다른 유럽의 중립국과는 다르게 포르투갈은 2차세계대전당시에도 전혀 전쟁에 대한 피해도 없었고 중립국의 위치있었습니다.
이로 인하여 전쟁복구비용이라는것도 없어서 좋은 환경처해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이후에 경제적으로 크게 발전이 없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이로 인하여 선진국 반열에 오르지 못한 배경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포르투갈은 제2차 세계대전, 정치적 불안정, 경제 구조의 문제점, EU 가입, 글로벌 금융위기, 지리적 위치, 인구 감소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경제 발전이 지체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포르투갈이 선진국의 반열에 오르지 못한 이유는과거에는 농업과 어업이 주를 이루었지만, 현대에는 산업과 서비스업이 중심이 되었는데 포르투갈은 산업 구조의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럽 이베리아 반도의 서부 대서양에 면한 국가로 1143년 레온 왕국으로부터 독립하였습니다. 15-16세기에는 남미의 브라질 등 전 세계에 걸쳐 식민지를건설해 거대제국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19-20세기에 대부분의 식민지가 독립하면서 국력이 급격히 약화되었고 2020년 기준 포르투갈은 18개주와 2개의 자치지역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포르투갈과 같은 경우 식민지 부분에 있어서도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적었으며 적은 인구수와 더불어서
유럽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길목이 스페인에게 막히는 등
이에 따라서 선진국 반열에 오르지 못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