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유능한스라소니93
유능한스라소니93

지렁이는 왜 비오거나 습하면 땅위로 나오는지

항상 비오고 다음날 보면 지렁이들이 땅위로 올라와 사람들 발길에 밟히는걸 보는데 왜 지렁이는 비온 다음날 지상으로 나오는걸까요?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게되면, 땅 속의 기공이 물로 채워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지렁이가 숨 쉴 수 있는 곳이 없어져서 땅 위로 올라오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지렁이는 양분이 많은 흙에서 양분을 먹고 살아갑니다. 하지만 비가오게되면 흙은 물을 머금게되고, 지렁이는 호흡을 할 수가없죠. 그래서 지렁이는 숨을 쉬기위해 지상으로 나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흙 속에 습기가 너무 많아져서 지렁이들이 살기위해 올라오는 거랍니다. 너무 습한 곳에서는 못살거든요

    • 지렁이는 피부로 호흡을 합니다.

      하지만 비가 오면 땅 속에 물이 스며들어 공기를 얻기 힘들게 됩니다.

      따라서 밖으로 나와 직접 공기를 마시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렁이는 피부호흡을 합니다. 하여 땅속에 물이 차거나 과도하게 습하면 호흡을 할수가 없어 땅위로 나오게 됩니다. 생존본능에 의한 탈출 입니다.

    • 비가 오고 나면 지렁이가 땅 위로 올라오는 이유는 지렁이가 피부호흡을 하는 생명체이기 때문입니다. 평상시에 지렁이는 땅 속에서 사는데요, 피부호흡을 하는 생명체이기 때문에 피부 근처 모세혈관의 헤모글로빈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의 교환이 일어납니다. 반면에 비가 오게 되면 땅 속에 빗물이 스며들면서 공기 구멍이 막히게 되고 산소가 부족해지기 때문에 땅 위로 올라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숨을 쉬기 위해서 입니다.

      지렁이는 피부로 호흡을 합니다.

      그런데 비가 오면 땅 속에 물이 스며들면 공기를 얻기 힘들어집니다.


      그리고 비오는날 지렁이 보면 전부 크기가 큰 편인데요.
      이처럼 크기가 클수록 산소 부족을 빨리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작은 애들은 흙속에 계속 있을 확률이 높지만, 큰 왕꿈틀이들은 못 견디고 산소를 얻으러 나오는 것입니다.

      그래서 비가 오고 난 후 왕 꿈틀이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