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이라는 기준은 인간입장에서 어떤 형태로 분류하나요?
해충과 익충은 인간입장에서 분류를 한것인데요 그렇다면 해충이라는 기준은 인간입장에서 어떤 형태로 분류하는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네, 말씀하신 것처럼 말씀하신 것처럼 "해충"과 "익충"이라는 구분은 생태학적인 분류가 아니라 인간 중심적 관점에서 만들어진 가치 판단입니다. 즉, 자연 생태계의 균형이나 생물 고유의 역할과는 무관하게, 인간의 생활이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한 분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해충이란, 인간의 입장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은 해를 끼치는 곤충이나 절지동물 등을 말하는데요, 병원균이나 기생충을 옮겨 사람이나 가축에게 질병 유발하거나 식물의 뿌리, 잎, 열매 등을 먹어 수확량 감소시키고, 저장된 곡식, 가공식품 등을 오염 또는 파괴하는 생명체를 해충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동일한 생물이라도 상황에 따라 해충이 되기도 하고 익충이 되기도 하는데요, 예를 들어서 개미의 경우 사체 분해, 씨앗 전파의 측면에서는 익충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집 침입, 음식 오염 등의 측면에서는 해충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해충과 익충은 인간과 특히 생태계를 기준으로 나눠진답니다.
결국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어떤 비율이 높은지에 대해서 나눠져요
해충은 인간의 관점에서 농작물, 가축, 재산 등에 피해를 주거나 질병을 매개하여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생물을 의미합니다. 즉, 인간의 경제적, 위생적 손실을 유발하는지 여부가 해충 분류의 핵심 기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해충은 인간의 생활, 건강, 농업, 위생, 경제적 활동에 피해를 주는 곤충이나 동물을 뜻하며, 생태학적 구분이 아닌 인간에게 유해한지 여부를 기준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결국 해충과 익충은 모두 인간 중심의 이익과 피해 관점에서 나눠진 개념입니다. 감사합니다.
해충이란 인간에게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주는 생물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우리에게 손해를 끼치는 벌레나 동물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죠.
그래서 피해의 형태에 따라서도 나누기도 하는데, 이 경우 농업, 위생, 재산, 인체 피해 등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이처럼 해충이라는 기준은 오직 인간의 입장에서 이롭지 않다고 판단될 때 붙여지는 이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