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친절한부엉이971
친절한부엉이971

꿀의 탄소동위원소비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꿀 뒷면에 탄소동위원소비 -23.5 라고 적혀있는것을 보았는데요. 누가그러는데 이것이 진짜꿀이라고 하더라구요. 탄소동위원소비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탕한개미핥기272
      호탕한개미핥기272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소 동위 원소비 분석법으로 아카시아 꿀은 -23.0~-26.1의 범위이며, 유채꿀과 밤 꿀은 -23.0~-28.0등 모든 벌꿀이 -23 이하를 갖습니다.

      동위 원소 연대 측정법의 경우 불안정한 원소는 반감기(개수가 반으로 줄어드는 기간)가 존재함을 발견하면서부터 이를 이용하여 연대를 추정하거나 물질의 순수한 양을 찾는 방법을 고안해 낸 것입니다. 벌꿀은 C3식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소 동위원소연대 측정법을 통해 순수한 꿀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벌꿀의 경우 -23이하를 갖게 되면 순수한 벌꿀(벌꿀의 순도)이라고 판단하여 드셔도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포도당, 과당등의 벌꿀의 주성분은 탄수화물(탄소와 수소의 화합물질)입니다. 그래서 꿀의 주성분은 어떻게보면 탄소와 수소가 주 구성원이지요.

      그리고 "동위원소"란 원자번호가 같은 원자지만 중성자 수 차이에의해 질량이 구분되는 서로 다른 원자들을 칭하는 말입니다. 쉽게 말하면 탄소마다 번호가 있는데 벌들이 채집하는 꽃꿀의 탄소화물값은 -22 ~ -33 이며 설탕의 주재료인 사탕수수나 물엿들의 탄소화물값은 -10 ~ -20 입니다.

      ​그래서 탄소동위원소검사를 하면 꿀에 사탕수수나 물엿등의 탄소화물값이 들어갔는지 알수있고 그걸로 진짜꿀이냐 가짜꿀이냐를 판가름 하는것 입니다. 하지만 탄소동위원소비는 설탕이 들어갔는지 아닌지만 판가름 될뿐 좋은꿀이냐의 기준은 알수가 없습니다.

    • 탄소동위원소비가 가짜 꿀을 판단하는 기준입니다.

      과학적 기법을 통해 꿀에 벌꿀이 진짜인지, 설탕은 몇 % 섞였는지 알 수 있습니다.

      먼저, 꿀을 태워서 이산화탄소를 만들고 질량분석기에 넣습니다.

      그러면 12C(12개의 탄소)에 대한 13C의 비율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천연꿀인 경우는 -22% ~ -33% 정도 나오고

      설탕물이라면 -10% ~ -20% 정도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