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내가제일대가리
내가제일대가리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라는 속담은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라는 속담은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이 속담은 주위에 아무도 없다고 함부로 말을 하면 누군가는 그 말을 듣으니 조심하라는걸 뜻하는 거 같은데

왜 여기서 낮말은 새가 듣는다고 표현하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고 표현하였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와우싱싱불어라🤩입니다.


      낮에는 소리가 위로 퍼지고 밤에는 아래로 퍼진다는 과학적 근거에 의한 속담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낮말은 위에 있는 새가 더 잘 듣게 되고 밤말은 땅에 있는 쥐가 더 잘 듣게 되는 것이죠. 

      같은 원리로 밤에 더 소리들이 잘 들리는 이유가 위로 확산하지 않고 아래로 소리가 내려앉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속담은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담겨져 있다고 보여집니다.




      ---- 첨 언 ----

      낮에는 지표면이 달궈지면서 온도가 높은 공기가 지표면에 있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기가 그 위에 존재하게 됩니다. 

      지표면에 가까운 공기의 에너지가 더 크고 공기 분자들의 활동이 더 활발하다는 의미이죠. 그래서 소리는 온도가 높은 매질에서 전달속도가 빠릅니다. 지표면에 가까울수록 소리의 전달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고 위로 올라갈수록 소리의 속도가 줄어듭니다. 이런 차이로 인해 소리가 위쪽으로 굴절됩니다. 소리가 위쪽으로 확산된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밤에는 지표면이 빠르게 식으면서 낮은 온도의 공기가 지표면에 머물고 천천히 식고 있는 공기가 위쪽에 있게 됩니다. 지표면에서의 소리의 전달 속도가 느려지고 위쪽 공기를 매질로 하는 소리의 속도는 상대적으로 빠릅니다.

      지표면에 가까울수록 음파 전달 속도가 느려지므로 소리는 땅쪽으로 굴절됩니다. 소리가 아래쪽으로 확산된다는 뜻이죠.


      출처 : LG사이언스랜드


    • 안녕하세요. PB.지후입니다.


      낮엔 새들이 먹이활동하는 시기이고

      밤엔 사람들을 피해 쥐들이 활동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낮말은 새가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라는 말이 나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