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세금·세무

종합소득세

오이오이
오이오이

고용증대세액공제 소수점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희는 감정평가법인입니다.

고용증대세액계산시에

상시근로자 계산시 100분의 1미만 부분은 없는 것으로 본다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현재 저희 상시근로자수의 계산 내역은

청년: 71명(근로자수합)/12개월(과세연도개월수)=5.91명

청년외: 79명(근로자수합)/12개월(과세연도개월수)=6.58명

상시근로자(청년+청년외등)총합계: 150명(근로자수합)/12개월(과세연도개월수)=12.5명

위의 계산 내역을 근거로

*상시근로자수: 청년 5.91명+청년외 6.58명=12.49명인데,

*상시근로자합의 경우 150명기준으로 12.5명으로 계산되어집니다.

이럴경우 어떤것으로 상시근로자수를 계산해야하나요?

갑: 상시근로자수 12.49명

을: 상시근로자합 기준으로 12.5명/ 을설로 하게되면 청년이나, 청년외에 0.01을 가감해야하나요?

의견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청년 외 상시근로자는 총 상시근로자 수에서 청년 등 상시근로자 수를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따라서, 상시근로자수는 12.5, 청년 등 상시근로자수는 5.91, 청년 외 상시근로자수는 6.59명으로 보시면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호 세무사입니다.

      을설에 따라 계산하시면 됩니다. 이 때 청년등 상시근로자 수는 5.91명, 청년외 상시근로자 수는 6.59명으로 계산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래 국세청 고용증대세액공제 Q&A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3. 2022.1월 법인을 설립하면서 정규직 직원 한명을 채용하였고, 해당 직원은 2022.6월 중 생일이 지나 만30세가 되었습니다. 이를 반영하여 계산한 결과 상시근로자 +1.00명, 청년 등 +0.41명, 청년 등 외 +0.58명으로 계산됩니다. 소수점 차이는 어떻게 적용하나요?

      A. 고용증대 세액공제 관련 법령에는 전체 상시근로자 수청년등 상시근로자 수 계산 방법 (100분의 1 미만의 부분은 없는 것으로 함)만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청년등 외 상시근로자 수(0.59명)는 전체 상시근로자 수(1명)에서 청년등 상시근로자 수(0.41명)를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국세청 고용증대세액공제 Q&A 링크

      https://www.bing.com/ck/a?!&&p=ffac582c7408517bJmltdHM9MTcwOTQyNDAwMCZpZ3VpZD0yOTRmZGY5OC1hNjMwLTY4ODEtMTg2OS1jYzdhYTcxODY5YTUmaW5zaWQ9NTE4OA&ptn=3&ver=2&hsh=3&fclid=294fdf98-a630-6881-1869-cc7aa71869a5&psq=%ea%b3%a0%ec%9a%a9%ec%a6%9d%eb%8c%80%ec%84%b8%ec%95%a1%ea%b3%b5%ec%a0%9c+Q%26A&u=a1aHR0cHM6Ly93d3cubnRzLmdvLmtyL2NvbW0vbnR0RmlsZURvd25sb2FkLmRvP2ZpbGVLZXk9YTY1OTI2ZjZlZWJiYTg1NDJmZTJlY2U5MWMzNDUwZjM&ntb=1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청년과 청년외를 구분하여 계산해야 하는 것이므로 12.49로 반영하시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