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고반점이라고 이름지어진 이유가 뭔가요?
몽고반점은 두먕인들이 태어나면 엉덩이 부분에 크게 시퍼렇게 생긴 반점으로 커가면서 자연스럽게 없어진다고 합니다 그런데 동양인에게 생기는 반점을 왜 몽골 사람들을 떠올리는 몽고반점이라고 불리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동양인 아기의 엉덩이, 등, 다리에 주로 분포하는 푸른색 반점을 의미한다. 가끔씩 팔, 가슴, 얼굴에도 있는 경우가 있다. 크기도 다양하며 없어지는 시기도 다양하지만 대개 활발하게 돌아다니는 나이가 되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하지만 어른이 되어도 남아 있는 경우가 간혹 있으며 레이저 치료 등으로 제거가 가능하다.
옛날엔 유럽에서 동양인하면 몽골인을 떠올렸기 때문에 동양인들을 몽골로이드(Mongoloids)라고 불렀듯이 '몽고반점(Mongolian spot)'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도 그와 비슷한 맥락으로, 몽고반점은 몽골인만의 특징이 아니라 전반적인 동양인의 특징이다.
동양인뿐만 아니라 북미 원주민들의 80~85%, 폴리네시아 원주민들의 80%, 남미 원주민의 40% 정도가 몽고반점을 가지고 태어나며, 동양계 혼혈의 경우에도 몽고반점이 있다.
출처: 나무위키 몽고반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몽고반점이란 우리나라 후예들이고 몽골인에게 많았던 관계입니다. 얼굴에 생기는 검푸른 반점은 오타씨 모반(Ota Nevus) 이라고 하고, 얼굴 이외의 다른 부분에 생기는 검푸른 반점은 이토씨 모반(Ito Nevus)이라고 지칭하며, 명칭의 유래는 이들 모반을 연구하여 발표한 오타씨와 이토씨의 이름을 붙이게 된 데서 연유됩니다.
서양인에게 없는 몽골족 후예에게만 나타나는 몽고 반점(Mongolian Spot)은 어린애의 둔부에 일시적으로 나타났다 없어지는데 이렇게 부르는 이유는 단한가지 특이하게 몽골인에게 나타남으로써 그 유래를 몽고반점이라 만들어 지은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몽고반점은 유럽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옛날 유렵에서는 동양인하면 몽골인을 떠올렸기 때문에 동양인들이 가지고 있는 반점을 몽고반점이라 불렀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몽고반점'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13세기부터 서양인들에게는 몽골인이 동양인을 대표하는 인종처럼 여겨졌기 때문이다. 몽골로이드라는 단어가 이를 대변한다. 서구의 인식에서 아시아,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인물이 바로 칭기즈 칸이기 때문이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 유럽에서 동양인하면 몽골인을 떠올렸기 때문에 몽고반점이라 불렀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몽고반점은 동아시아인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우리나라 신생아의 엉덩이 등에서 흔하게 관찰돼요. 몽골계 인종이 지닌 특징의 하나라는 데서 붙여진 이름인데요.명칭이 몽고반점인 이유도 몽골계 인종에게서 흔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엄재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몽고반점은 일반적으로 몽골로이드계 집단에 출현율이 높다고 합니다
옛날엔 유럽에서 동양인하면 몽골인을 떠올렸기 때문에 동양인들을 몽골로이드 라고 불렀듯이 몽고반점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도 그와 비슷한 맥락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은경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몽고반점은 몽골계 아시아인계 인종이 갖고있는 선천적 특성입니다. 멜라닌 세포에 의해 피부에 푸른 빛깔을 띠게되는데 이 멜라닌 세포가 몽골계인종이 백인보다 많으므로 몽고반점이 많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의 반점이 등 하부, 궁둥이, 옆구리, 어깨 부분에 나타나는데 주로 배아 단계 발달 과정에서 신경관의 멜라닌세포 절반 또는 3분의 2 가량이 표피로 이동하지 못하여 발생한다.
몽고반점은 출생 후 2세까지가 가장 빛깔이 진하며 점차 퇴색하여 11∼12세가 되면 거의 보이지 않게 된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몽고반점은 배아 발생 초기 표피로 이동하던 멜라닌색소세포가 진피에 머무르면서 생기는 푸른색 반점을 말합니다. 이를 '몽고반점'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13세기부터 서양인들에게는 몽골인이 동양인을 대표하는 인종처럼 여겨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몽고반점은 우리가 몽골간섭기에 피가 섞인 증거입니다. 몽골이들에게 나타나는 것이 우리 민족에게도 나타나는 것은 그것이 우리가 순혈이 아니라 몽골과의 혼혈이 많았다는 증거입니다. 연지곤지, 족두리나 수라 등 몽골문화가 남아있듯이 우리 유전자에 들어왔던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