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금리가 계속 동결중인데 시중은행금리는 조금 내려가는거 같은데요.
요즘 인터넷기사나 주위 동료분들의 말을 들어보면 한국은행기준으로 금리가 동결되었는데 시중은행의 금리가 조금 내렸다는 분들 계신데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요 시중은행들의 정기 예적금 수신금리가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4%대를 웃돌았던 금리가 이달 들어 3%대로 내려앉았습니다. 시중은행들의 예적금 금리 인하는 하반기 예정된 기준금리 인하를 선반영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시중금리와 같은 경우에는 향후 시장금리가
떨어질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인 결과, 현재 금리가
어느정도 내려가고 있으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제 미국금리가 떨어질것을 예상하고 예적금금리는 하향, 대출금리는 상향하는 움직임이죠, 티가 많이 나면 안되니 조금씩 움직입니다 은행은 돈장사니까요
시장의 금리는 기준금리와 꼭 동일하게 움직이는 것은 아닙니다. 기준금리가 내려갈 것이라고 예상이 되면 시장금리는 먼저 반응합니다. 우리나라 금리는 10월쯤 금리 인하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는데 그 전부터 조금씩 내려가기 시작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중은행 금리는 중앙은행에서 기준금리와 함께 코픽스, CD, CP금리, 코리보 등도 영향을 주는데요. 기준금리가 내릴것으로 전망하는 지금 앞서서 선반영된 다른 금리가 내리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연 3.5%로 계속 동결하고 있습니다. 이는 물가와 가계부채 문제, 그리고 미국 금리 동향 등의 요인 때문입니다. 그러나 시중은행의 금리는 경쟁과 유동성 관리 등의 이유로 소폭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시중 단기금리도 소폭 하향이고, 3년, 4년, 5년 중기 금리는 실제로 내렸어요.
미국금리는 올해 동결이지만 내년이후 하락이라는 시그널이 계속 나오고 있어서 선제적 대응차원에서 장기금리 하향세가 맞아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동결했지만 금융 시장 금리는 조금 내렸습니다. 이는 미연준의 금리인하에 기대감이 이제 현실이 돼 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거의 9월에는 금리인하를 규정 사실화 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금융시장에서도 선재적 반영이 이루이지고 있는 것입니다.
( 아래 표와 같이 미국이 금리 인하할 것이라는 발표가 있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출기준 금리인 COFIX금리가 하락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동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중은행의 금리가 하락하는 몇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시장 경쟁: 시중은행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고객 유치를 위해 대출 금리를 낮추거나 예금 금리를 높이는 전략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새로운 고객을 확보하거나 기존 고객을 유지하려는 은행들의 움직임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유동성 공급 증가: 중앙은행이 양적 완화 정책 등을 통해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면, 시중은행들은 더 많은 자금을 확보하게 되어 금리를 낮출 여유가 생깁니다.
경제 전망 변화: 경제 전망이 개선될 경우, 대출 상환 능력이 향상된다고 판단하여 대출 금리를 낮출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경기 침체 우려가 높아질 경우에도 중앙은행의 완화적 정책을 예상하고 금리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금융정책 기대: 시장에서는 중앙은행의 향후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중앙은행이 당장은 금리를 동결하고 있지만, 향후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시중은행들은 미리 금리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시중 은행의.정기예금 몇개의 상품은 기준금리보다 낮은 상품도 존재합니다.
금리가 인하 될것으로 예상되어 예금금리도 낮춘 상품이 미리 나오게 되어 생긴 현상이라고 보시면 될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