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히 말하는 '기회비용' 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우리는 투자를 할 때 흔히 존버라는걸 하게 되면
항상 이 기회비용이란걸 생각하게 되는데요
이 기회비용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계산하는 방식이 있는건가요?
전문가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회비용이란 질문자님의 말씀대로 A라는 것을 할 때 B를 하지 않았던 것에 대한 '손익'을 계산하게 되는 것입니다.
질문자님이 말씀주신 A주식을 존버했을 때를 예로 설명드린다면,
1월 1일에 구입한 A주식을 존버해서 내년 1월 1일에 100원에서 103원으로 3%가 상승하여 3원의 차익을 거둠
1월 1일 은행의 예금의 금리가 5%로 내년 1월 1일에 100원의 예금을 가입했다면 세금을 제외하고 4원의 차익을 거둘 수 있었음
여기서 그럼 기회비용은 은행예금을 선택하지 않고 A라는 주식의 존버를 선택함으로 써 발생한 놓친 손실을 이야기합니다. 그럼 우리는 4원의 이익을 거둘 수 있었으나 3원의 이익만을 거두었기에 1원의 기회비용이 발생하게 된 것이라고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회비용이란 선택에 따른 진정한 비용으로,‘ 여러 대안들 중 하나의 대안을 선택할 때 선택하지 않은 대안들 중 가장 좋은 것, 즉 차선의 가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2시간 동안 영화 감상, 공연 관람, 공부 중 무엇을 할까 고민하고 있다고 해보셍ᆢㄷ. 각 대안이 주는 만족은 영화 감상 10만 원, 공연 관람 15만 원, 공부 5만 원이지만, 영화나 공연 관람권은 모두 공짜로 얻은 초대권입니다. 이때 초대권으로 공연을 관람하면 비용은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15만 원의 만족을 얻을 것 같지만 이때도 지불하는 비용이 있습니다. 선택으로 인해 포기한 것이 있기 때문입니다. 바로 차선인 영화 10만원의 기회비용이 발생한 것입니다. 공연을 관람하기로 한 경우 남은 대안은 영화와 공부이고 두 대안중에서 가장 가치가 큰 차선인 영화 10만 원이 공연 관람의 기회비용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회비용은 보통 계산식은
기회비용 = 명시적비용 + 암묵적비용으로
계산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회비용이란 여러 가능성 중 하나를 선택했을 때 그 선택으로 인해 포기해야 하는 가치를 비용으로 환산한 것 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보유한 현금이 1억 원이고 이자율이 연 5%라 가정할 경우 이 기업은 예금을 통해 연 500만 원의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1억원으류 설비투자를 집행 하는 경우의 기회비용은 바로 500만원의 연 수익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