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 동전의 단위에 대한 공부는 어떻게 시작하는게 좋은건가요?
저학년 아이에 대해 돈의 가치와, 돈의 단위, 돈 계산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을 하고 싶은데, 어떤 자료가 도움이 될 수 있나요?!어떻게 접근하는게 좋은걸까요?
화폐나 동전의 단위에 대한 공부는 어떻게 시작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가봅니다.
실제 동전이나 지폐를 활용한 역할놀이, 마트 놀이, 용돈 관리 활동 등을 통해 아이가 돈을 직접 다뤄보며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어린이 경제교실이나 KDI의 초등 경제교육 콘텐츠는 카드뉴스, 애니메이션, 활동지 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해 아이 눈높이에 맞춘 학습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화폐.동전의 단위 그리고 돈의 가치와 돈의 대한 전반적인 교육을 하고자 하신다 라는 것은
아이에게 경제교육을 시키고자 하는제 그 적절한 시기가 언제인지가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경제교육을 시키는 시기는 만 7세 ~8세 부터 시작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경제교육은 놀이를 통해 학습을 시켜보면 더 쉽게 이해하고 다가가기 쉽습니다.
브루마블 보드게임 및 은행놀이, 가게놀이 등 다양한 역할놀이를 통해 경제교육을 시켜주도록 하세요,
또한 경제교육에 관련된 학습 영상 자료 및 학습지를 활용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저학년이라면 생활 속 놀이 중심으로 접근하는 게 좋습니다. 먼저 실제 동전, 지폐를 만져보고 구분하기부터 시작하세요. 그 다음 마트놀이, 가게놀이로 물건 가격표를 붙여 돈을 내고 거스름돈 받기를 연습하면 자연스럽게 가치 개념이 잡힙니다.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저학년은 시각적 놀이형 자료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모형 동전 지폐, 마트 놀이, 용돈 가계부 같은 체험 중심 교구로 흥미를 유도하세요
또한 필요 , 욕심을 구분하는 짧은 동화나 영상 자료를 함께 활용하면 돈의 가치를 자연스럽게 이해시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는 경제에 대한 기본 개념과 원리로서, 보통 초등학교 3학년부터 사회 과목에서 조금씩 배우게 됩니다. 그러한 부분은 화폐박물관 견학, 화폐와 돈의 원리를 다룬 어린이 수준의 그림책이나 동화책 읽기 등을 통해서 공부를 해볼 수 있겠습니다. 지식보다는 흥미와 경험 위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