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화폐, 동전의 단위에 대한 공부는 어떻게 시작하는게 좋은건가요?

저학년 아이에 대해 돈의 가치와, 돈의 단위, 돈 계산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을 하고 싶은데, 어떤 자료가 도움이 될 수 있나요?!어떻게 접근하는게 좋은걸까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화폐나 동전의 단위에 대한 공부는 어떻게 시작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가봅니다.

    실제 동전이나 지폐를 활용한 역할놀이, 마트 놀이, 용돈 관리 활동 등을 통해 아이가 돈을 직접 다뤄보며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어린이 경제교실이나 KDI의 초등 경제교육 콘텐츠는 카드뉴스, 애니메이션, 활동지 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해 아이 눈높이에 맞춘 학습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화폐.동전의 단위 그리고 돈의 가치와 돈의 대한 전반적인 교육을 하고자 하신다 라는 것은

    아이에게 경제교육을 시키고자 하는제 그 적절한 시기가 언제인지가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경제교육을 시키는 시기는 만 7세 ~8세 부터 시작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경제교육은 놀이를 통해 학습을 시켜보면 더 쉽게 이해하고 다가가기 쉽습니다.

    브루마블 보드게임 및 은행놀이, 가게놀이 등 다양한 역할놀이를 통해 경제교육을 시켜주도록 하세요,

    또한 경제교육에 관련된 학습 영상 자료 및 학습지를 활용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저학년이라면 생활 속 놀이 중심으로 접근하는 게 좋습니다. 먼저 실제 동전, 지폐를 만져보고 구분하기부터 시작하세요. 그 다음 마트놀이, 가게놀이로 물건 가격표를 붙여 돈을 내고 거스름돈 받기를 연습하면 자연스럽게 가치 개념이 잡힙니다.

  •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저학년은 시각적 놀이형 자료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모형 동전 지폐, 마트 놀이, 용돈 가계부 같은 체험 중심 교구로 흥미를 유도하세요

    또한 필요 , 욕심을 구분하는 짧은 동화나 영상 자료를 함께 활용하면 돈의 가치를 자연스럽게 이해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는 경제에 대한 기본 개념과 원리로서, 보통 초등학교 3학년부터 사회 과목에서 조금씩 배우게 됩니다. 그러한 부분은 화폐박물관 견학, 화폐와 돈의 원리를 다룬 어린이 수준의 그림책이나 동화책 읽기 등을 통해서 공부를 해볼 수 있겠습니다. 지식보다는 흥미와 경험 위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