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 탐지기의 원리는 어떻게 이뤄졌나요?
안녕하세요? 사람이 말하는 것을 거짓인지 진실인지 판단하는 기계인 거짓말 탐지기는 경찰수사에 자주 등장하잖아요~ 그런데 이 거짓말탐지기의 원리는 어떻게 이뤄졌나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거짓말 탐지기는 심박수,혈압,호흡 속도, 피부전도도(갈바닉 피부 반응) 등을 측정합니다. 질문에대한 응답시 생리적 반응의 변화를 분석하여 기준선과의 차이를 통해 거짓말 여부를 판단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결국 해당 사람의 뇌파나 다른 파동을 감지하여 특정 대답 시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으로 탐지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거짓말 탐지기의 원리는 사람이 거짓말을 할때 나타나는 생리적인 변화를 나타냅니다.
대표적인 장치인 폴리그래프는 호흡,혈압,맥박,땀에 의한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며 거짓말시 교감신경의 활성화로 인해 이러한 신체 반응이 급격히
변합니다 또한 뇌파를 분석하는 뇌 지문 감식이나 동공크기 변화 얼굴 온도변화 등을 감지하는 기술도 활용 됩니다. 하지만 개인차와 긴장등으로 인해 100퍼센트 보장하지는 못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거짓말 탐지기는 신체의 무의식적인 반응을 기반으로 합니다.
관련 신체 반응으로는
호흡,심박수,혈압,땀,피부전도도 를 말하며, 이러한 생리적 반응은
사람이 이를 의도적으로 감추기 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외 폴리그래프 를 활용하여 거짓말을 할때 그래프의 파형이 급격히 변하는 장비가 있으며,
폴리그래프의 정확도는 95%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뇌파를 측정하여 거짓말을 판단하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경찰수사 및 심문에 사용되자만, 그 정확성과 신뢰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거짓말 탐지기의 원리는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하여 사람이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를 추론하는 방법입니다.
거짓말을 할 때는 신체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거짓말 탐지기는 이 반응들을 감지하여
판단하게 됩니다. 이러한 생리적 반응들이 특정 기준을 초과하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거짓말
탐지기는 100% 정확하지 않으며, 다른 이유로 신체 반응이 변할 수도 있기 때문에 완전한 신뢰를 가질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긴장하거나 불안해하는 사람도 거짓말 탐지기의 결과가 부정확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