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킴다니엘
킴다니엘

위안화는 어떤 부분이 취약하고 패권 차지에 희박한가요?

보통 역사적으로 봤을때 기축통화의 패권기가 보통 길때 120년 정도였다고 하는데요. 달러 패권기 인 현재 그 문턱에 다다르고 있는 시기인데 과거의 타국의 길었던 기축통화(110년~)와는 차원이 다르게 역대 가장 길게 패권기를 가져갈수도 있는것일까요? 많은 정보 공유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안화가 패권을 차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위안화를 공급하는 중국에 대한 믿음이 존재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의 통화 공급량이나 중국의 환율 정책을 본다면 중국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다 보니 이는 곧 중국의 위안화에 대한 신뢰 하락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중국의 경제 규모를 비롯해서 중국의 산업발전이 다른 국가들에서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물건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필요합니다. 위한화를 가지고 있다가 다른 국가들과의 교역이 끊기게 되어 중국과의 교역만을 한다고 하더라도 충분히 해당 국가가 필요로 하는 재화들을 교환할 수 있다는 가치가 필요하나 중국의 산업발전은 미국에 비해서 열악한 상황입니다.

      또한 산업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유에 대한 결제대금이 위안화로 이루어져야 하는 과제가 있는데, 이는 사실 2번째 선결 조건인 중국의 산업성장성과 연관이 됩니다. 사우디가 위안화로 결제를 받는 경우 이 위안화를 토대로 사우디가 필요로 하는 모든 물건들을 구입할 수 있다는 전제 조건이 있어야 하나 위안화의 결제 범위는 여전히 중국에 대한 한계가 존재하고 중국을 통해서 사우디가 필요로 하는 모든 물건을 구입할 수 없기에 패트로 달러를 무너트리기는 힘들다고 봐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여러가지 세계적인 기구를 만들어 세계적인 영향력이 높습니다

      중국은 군사적 경제적으로 미국을 따라잡고 있고 능가할수는 있지만

      돈많은 마을 호족정도랄까요 네트워크가 부족하기 때문이죠 아직까지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미국에 비하여

      중국은 기술력이나 문화력, 경제력 등 여러가지 요소에 있어

      뒤쳐지고 있으며 또한 중국의 경제성장에 도약이 걸리다보니

      앞으로 위안화가 패권을 질 가능성은 개인적으로는

      낮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이 gdp기준 경제력은 미국에 육박하지만 사회주의 국가의 폐쇄성으로 금융선진화가 될수 없는 등 여러ㅠ문제로 위안화가 패권을 가지긴 시기상조라 생각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