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늘총명한뼈해장국
늘총명한뼈해장국

과학지식은 순전한 객관적인 사실로서 형성되나요 아니면 문화적 가치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아 형성되나요?

과학은 언제나 객관적이고 어떤 가치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형성된다는 관점 vs. 과학은 역사적 맥락 안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특정 가치, 문화적 관점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는 관점

이 두 관점을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화학 혹은 생명과학 에서의 사례 없을까요? 이 사례를 통해 과학은 항상 객관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이 사례를 통해 과학은 가치와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 이렇게 설명할 수 있는 사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화학과 생명과학에서 DNA 이중나선 구조의 발견은 과학의 객관성과 문화적 영향을 동시에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DNA 구조는 1953년 왓슨과 크릭이 이중나선 모델을 제시하면서 생명과학의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이는 엑스선 회절 데이터와 엄격한 실험적 분석에 근거한 과학적 발견으로, 과학의 객관성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데이터가 그녀의 동의 없이 활용되었다는 점과 당시 여성 과학자가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 사회적 맥락은 과학이 당시의 성별 역할과 같은 문화적 가치에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합니다. 이 사례는 과학이 객관적 사실을 추구하지만, 연구 환경과 사회적 요인이 과학적 발견의 과정과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잘 보여줍니다.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과학지식은 순전히 객관적인 사실만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문화적 가치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아 형성됩니다.

    과학지식은 반복 가능한 실험과 관찰을 통해 얻어진 증거를 바탕으로 합니다. 즉, 누구든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의미에서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적 연구는 인간이 수행하는 활동이기 때문에 완전히 객관적일 수는 없습니다. 과학자들은 어떤 현상을 연구할지, 어떤 질문을 던질지, 어떤 방법론을 사용할지 등을 선택해야 하는데, 이러한 선택에는 과학자 개인의 배경, 가치관, 그리고 당대 사회의 문화적, 사회적 환경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국 사회적 문제나 당대의 관심사는 과학 연구의 주제를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환경 과학 연구가 활발해지게 되는 것이죠.

    또 과학 연구 결과를 해석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도 가치 판단이 개입될 수 있습니다. 어떤 연구 결과가 더 중요한지, 어떤 가설이 더 설득력 있는지 판단하는 데에는 과학자 개인의 가치관뿐만 아니라 사회적 합의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게다가 과학 기술이 어떻게 활용될지는 사회적 가치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전자 편집 기술의 경우, 질병 치료에 활용될 수도 있지만, 윤리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젹으로 과학지식은 객관적인 사실과 주관적인 가치 판단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과학 지식은 문화적 가치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과학은 증거 기반이며 실험을 통해서 증명을 해야 합니다. 한 가지 실험에는 단 한 가지의 변수만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