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키우면서 회초리? 들어야할까요? 아닌걸까요?
아이키우면서 회초리? 들어야할까요? 아닌걸까요?
말로서는 안될때가 한두번이 아니예요
그렇다고 때리고 그런건 아니지만 저만의 훈육이라고
들고 모션 취한건 있어요 어려워요
욱욱할때가 한두번이 아닌데요
하~ 회초리가 필요할땐 어떡해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키우다보면 회초리를 들고 싶을 때가 종종 있습니다.
그런데 매를 들어서 아이를 때린다고 하면
아이의 그 행동이 바로 개선될까요?
아이는 그 순간이 무섭고 공포스럽기 때문에 순한 양처럼 고분고분해지기는 할 것입니다.
아이에게 매를 들고나면 부모 마음도 좋지 않고
아이와의 관계도 멀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매를 들어서 우리 엄마, 아빠는 무서운 사람이야! 라는 것을 각인시켜 줄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가능하면 아이의 잘못된 행동, 즉 관찰한 행동을 말해주고
부모님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그러고 나서 앞으로 어떻게 해주면 좋겠는지를 부탁하며 마무리하는게
매를 드는 것보다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체벌은 결코 효과적인 훈육 방법이 아닙니다. 체벌은 부모에게는 달콤한
유혹일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일시적으로는 아이가 말을 잘 듣기 때문입니다.
말을 안듣던 아이가 한대 맞고 나면 무서워서 말을 잘 듣습니다. 하지만 이는 부모를
준종하고 그들의 권위를 인정해서 나오는 자발적 행동이 아니라 단지 맞지 않기 위해
나오는 복종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체벌보다는 아이에게 무언가를 가르치거나 교육하고
싶다면 부모가 먼저 본을 보이며, 부모가 먼저 조절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회초리를 드는것은 진정한 훈육이 아니라 체벌입니다 아이가 자신이 잘못해서 혼났다라기 보다는 엄마가 화를 내서 자신을 때렸다고 인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아이는 증오심이나 두려움이 생기고 훈육일 하는.근본적인 이유를 찾지 못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떠한 경우에라도 체벌은 안됩니다.
아이의 기억 속엔 체벌만 오래도록 남을 것입니다.
때리지는 않지만, 회초리를 보여주는 것은 괜찮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시 바로 칭찬을 해주시면, 아이도 방금 한 행동이 바람직 하다 라는 것을
알고 그 행동을 강화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