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현무암과 화강암은 어떤 차이를 가진 화산석인가요?

안녕하세요? 돌하르방의 현무암, 석굴암의 화강암 모두 마그마가 식어서 만들어진 돌이잖아요~ 그런데 현무암과 화강암은 어떤 차이를 가진 화산석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현무암은마그마가 지표면에서 빠르게 식으며 형성되며 마그마가 화산분출로 대기중에 직접 노출되거나 바다와 같으 ㄴ곳의 바닥에서 식으면서생성이 되지용~ 빠른 냉각으로 결정이 커지지 못하며 화강암은 마그마가 지하 깊은곳에서 천천히 식으면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큰 결정을 가지게 됩니다. 현무암은 어두운 색상을 띄며 미세한 결정 구조로 인해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가벼우며 기공이 있습니다. 또한 화강암은 일반적으로 밝은 색상을 띄며 고운 결정 구조로 인해 단단하고 조밀하며 크고 뚜렷한 광물의 결정을 보이게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현무암은 화산석이라고 할 수 있지만 화강암은 화산석이 아닙니다.

    현무암과 화강암은 둘다 마그마가 굳어서 만들어진 화성암입니다. 화성암을 구분하는 기준은 크게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광물의 크기이고 다른 하나는 암석의 구성성분입니다.

    광물의 크기는 마그마가 식는 속도, 즉 엄석이 만들어지는 깊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마그마가 디표로 분출되거나 지표 가까운 곳에서 식으면 빨리 냉각되어 광물 결정이 작거나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를 화산암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깊은 곳에서 식으면 지열로 인한 보온효과로 인해 천천히 식으며 광물의 크기가 큽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암석을 심성암이라고 합니다.

    조성에 따른 구분은 암석에 있는 SiO2 함량에 따라 52% 이하인 염기성암, 63% 이상인 산성암, 그 사이는 중성암으로 구분합니다. 일반족으로 산성암에서 염기성암으로 갈수록 짙은 색이 됩니다.

    이런 기준으로 본다면 현무암은 염기성 화산암이고, 화강암은 산성 심성암입니다. 두 암석은 화성암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본다면 정반대쪽에 위치하는 셈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