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23.10.24

일본에서는 어느시기부터 불교가 도입되어 대표적인 종교가 된건가요?

일본에서는 기독교 색채가 매우 약하고 상대적으로 불교가 오랫동안 사랑을 받았던 종교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느시기부터 일본은 불교가 도입되었으며 지금의 자리을 잡게 된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에 불교가 전해진 것은 538년 백제 성왕 때이며, 이후 백제와 신라의 승려들이 지속적으로 일본에 건너가 불교를 전파하였습니다. 6세기 말에는 쇼토쿠 태자가 불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일본의 대표적인 종교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이후 불교는 일본의 문화와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까지도 일본인들의 생활과 문화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의 경우 6세기에 백제로부터 전래되었는데 나라에서 대불개안을 시작하고 삼론종, 화엄종 등 6개 종파가 형성되었습니다.

    쇼무천황때에 당나라 승려 감진이 일본에 들어와 일본 불교의 초석을 쌓는데 많은 공헌을 했고, 794년 간무 천황의 교토 천도에 이어 견당사로 당나라에 유학을 다녀온 구카이와 사이초가가 각각 진언종, 천태종을 창시해 일본 불교에서 고야산, 히에이산 등의 비중이 커졌습니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무사가 귀족에서 권력을 빼앗고 힘을 순조롭게 기르던 시대로 , 이 시대에 임제종과 조동종이라는 두 선종이 잇따라 중국에 소개되었고 힘을 길러 가고 있던 사무라이 집단이 선호한 것에 기반해 가마쿠라 등 많은 선사가 지어져 매우 번창했고 전국시대에 정토진종 혼간지교단 등 세속적인 권력을 가진 거대 불교교단들이 잇키를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1603년 에도에 막부를 연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불교과 관련해 사사제법도를 정하고 1654년 명나라에서 건너온 승려 은원이 황벽종을 창시, 에도 시대 일본에서의 최대 불교 종파는 정토진이었습니다. 1868년 일어난 메이지 유신으로 새로 세워진 일본 정부는 국가신토를 숭상하고 불교를 억제하는 숭신억불 정책을 펴 일본 불교계는 초유의 난관을 겪었고, 전국 각지의 사찰은 폐쇄되거나 철거, 매각되기도 합니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 불교계는 이런 탄압에서 벗어났으며 1951년 종교법인법이 제정되어 이후 각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식적인 자료를 통해서는 552년 백제의 왕실(성명앙)을 통해 일본의 왕실(킨메이천황)이 불상과 경전을 받은게 있어서 이때 즈음인 것으로 추측합니다. 실제 왕끼리 주고 받은 것을 보아 민간에서는 이미 알음알음 퍼져있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그 뒤 기존 토착귀족들의 세력을 저지하고 왕권을 높이려는 일환으로 왕실은 불교를 옹립했고, 불교수용파와 반대파가 대립했는데 불교수용파가 이김으로서 공식적으로 불교가 수용됩니다(587년).

    이제 반대하는 세력이 약해졌으니 많은 사찰을 짓고 퍼트리고 초기에는 고구려와 백제의 승려를 통해 운영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