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에서 추상화가 갖는 철학적 의미가 무엇인가요?
현대미술에서 추상화가 갖는 철학적 의미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관람자가 작품을 해석할 때 작가의 의도와 얼마나 일치하거나 괴리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해설을 하고 있는 김찬우 라고 합니다.
질문이 광범위한데 추상화가 갖는 철학적의미는 무한합니다. 추상화가 등장했던 것은 인류가 눈에 보이는 것을 너머의 것을 그리고자 하면서 만들어진 양식 입니다.
구체적인 대상을 그리는게 구상인데 추상은 그의외의 모든 것이기에 구상회화를 제외한 모든것에 철학적의미를 부여할순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관람자가 작품을 감사할때 작가의 의도에 접근하는 것 역시도 작품별로 천차만별 입니다. 위의 구상회화라면 작가의의도가 쉽게 드러나겠지만 추상회화나 동시대성을 가진 회화나, 영상, 설치 작품들을 작가의 설명없이 한번에 작가의 의도에 다가가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
현대미술에서 추상화가 갖는 철학적 의미는 현실 세계의 구체적인 대상 재현에서 벗어나, 순수한 조형 요소(색채, 형태, 선, 면) 자체를 통해 작가의 내면 세계, 감정, 사상, 정신적 법칙 등을 표현하고자 한 데 있습니다.
또한, 추상화에서는 구체적인 대상이 없기 때문에, 관람자가 작품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작가의 의도와 일치하거나 괴리되는 폭이 구상 미술보다 더 클 수 있습니다.
즉 추상화는 작가 내면의 정신적 법칙을 표현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지만, 구체적인 형태를 배제함으로써 관람자의 주관적인 경험과 해석을 통해 완성되는 측면이 강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현대미술에서 추상화는 단순히 형태를 없앤 그림이 아니라 작가의 내면, 감정, 철학을 시각적으로 풀어낸 표현 방식이에요 현실을 그대로 재현하는 대신 색, 선, 형태 자체를 통해 감정이나 개념을 전달하려는 거죠 예를 들어 칸딘스키는 음악처럼 보이지 않는 감정을 시각화하려고 했고 몬드리안은 질서와 균형을 추구하면서 추상 속에 철학을 담았어요 관람자 입장에서는 작가의 의도와 꼭 일치하지 않아도 돼요 오히려 추상화는 해석의 여지를 열어두는 게 특징이라서 보는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고 받아들이는 게 자연스러워요 어떤 사람은 평온함을 느끼고 어떤 사람은 혼란을 느끼기도 하니까요 작가의 의도와 관람자의 해석 사이에 괴리가 생기는 게 아니라 그 자체가 추상화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