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대단한친칠라280
대단한친칠라28023.02.07

비은행PF가 부실화된다면 부동산시장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최근 뉴스를 보면 증권, 캐피탈, 저축은행 등 비은행PF가 위험하다고 합니다. 실제로 비은행PF가 부실화된다면 부동산시장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프로젝트 파이낸싱, PF는 글자 그대로 사업자금을 조달하는 하나의 방식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대단지 아파트를분양하면 건설사들은 엄청난 수익을 얻을 수 있죠. 저축은행이나 증권사는 이런 사업에 눈이 번쩍 뜨였고 자금을 끌어 들여 건설 시행사에게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방식인데이게 정말 큰 돈이 됩니다.

    은행 예대마진으로 얻는 수익이나 증권사 자체 사업으로얻는 이익 보다 더 큰 자금이기 때문에 타켓을 부동산 PF대출 시장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사업성이 좋은 현장만 골라서 리스크를 대비하면서 진행을 했죠.그런데 이게 정말 큰 돈이 되니까 여러 금융회사나 돈을 많이 버니까 덩달아서 업계 전반으로 번지게 되었죠.

    경기 침체로 부동산 개발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금융기관중 저축은행이나 증권사들은 대출 보증을 섰기 때문에 더불어서 난항을 겪고 경영이 어려워진 상황입니다.부동산 시장이 호황을 이루고 수익율이 크다는 달콤함을알기 때문에 부동산 PF대출 규모를 늘렸고 경기 침체 상황이 되면서 부실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또다른 저축은행 사태가 벌어지는게 아닐런지 걱정이 앞섭니다. 금융권 종사자 입장에서 요즘 걱정이 너무 많네요.여러분은 크게 상관 없는 일이다 생각할지 모르지만 이건금융계 전반에 큰 악영향을 줄 수 있는 큰 뇌관입니다.

    금리 급등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부동산 시장이 혹한기를 맞으면서 부동산 PF대출 역시 위태로운 지경으로 분위기가 바뀌게 된 것입니다. 미분양은급증을 했고 급기야 원자재 가격까지 올라 사업성이 떨어졌죠. 이런 현상은 바로 돈줄까지 말라버리게 되는 상황으로 급변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