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

최근에 금리 인하를 하기 시작했는데 왜 대출금리는 그대로인가요?

최근에 미국에 기준금리가 내려갔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여전히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그대로이고 대출금리 또한 내려가다가 갑자기 올라가는 모습을 보이는데 왜 그런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내려간 것과 한국의 기준금리, 대출금리 간의 차이는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여기 몇 가지 주요 원인을 살펴보겠습니다.

    금리 정책의 차이:

    미국의 금리 인하가 한국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각국 중앙은행은 자국의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 정책을 독립적으로 결정합니다.

    국내 경제 상황:

    한국의 경제 성장률, 소비자 물가, 가계부채 등의 상황에 따라 금리 인상 여부가 결정됩니다.

    만약 가계부채가 높고 대출 수요가 계속 증가한다면 금리를 올릴 수 있습니다.

    대출금리와 시장금리:

    대출금리는 은행이 자금을 조달하는 비용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단기적으로는 대출금리가 낮아질 수 있지만, 은행의 자금 조달 비용이 상승하면 대출금리가 다시 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은 자원봉사자가 아닙니다 기준금리에 맞추어서 그 돈을 빌려 오고 이유를 높여서 예금하는 사람한테는 3% 주고 대출하는 사람한테는 10%, 15%로 해서 예대 마진을 챙기는 돈장사꾼들입니다 코로나 때 엄청난이자 파티를 했다고 비판을 많이 받자 은행들은 자체적으로 금리를 억제하려고 했다고 하네요 이제 금리가 내려가기 시작하면서 지난번에 못 먹었던 수익들을 챙기기 위함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한해 한국은 금융채 금리가 떨어지면서 예금금리는 지속하락추세였고 대출금리도 상반기내내 하락추세였습니다.

    그러나 8월 스트레스 DSR2단계가 시행되면서 가산금리가 추가적용되면서 주담대금리 상승압박을 받게 되었고 거기다 9월부터는 대출증가세가 좀처럼 꺽이지않자 정부가 대출 총량규제를 언급하면서 국내 시중은행들이 서서히 하나둘씩 대출의 한도를 크게 줄이고 신규 대출 상품의 금리를 올리면서 대출 총량을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대출금리는 오르는 이례적인 현상이 발생하게 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리 인하를 시작했는데 왜 대출금리는 그대로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미국은 내렸지만 한국은 아직 내리지 않았고

    현재 정부가 대출 금리 올리라고 은행에 요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한국 대출 금리가 그대로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아직 금리 인하를 공식적으로 시행하지 않았고 가계부채 증가와 같은 국내 경제 문제들이 있어 금리 조정이 신중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대출 금리는 금융기관 정책이나 시장 상황에 따라 더 복잡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바로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변화는 시간이 지나야 대출 금리에 반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직 한국은행은 금리 인하 결정을 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를 결정하더라도, 이미 대출금리는 시장금리의 인하를 예상하여 선반영되어 있습니다. 실제 금리 인하결정을 하더라도 대출금리는 큰폭으로 변하지는 않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 대출금리는 오히려 올라가고 있는데 이는 가계대출을 줄이라는 정부의 압박속에

      글로벌 기준금리가 하락함에도 오히려 상승하고 있는 기이한 상황입니다.

    • 물론 대출 금리를 올리게 되면 전반적으로 가계대출 총량은 줄어들지만 우리나라 서민들은

      고통을 겪게 됩니다

    • 정부는 알면서도 눈감고 있고 어쩔 수 없이 가계들의 경제가 더욱더 팍팍해질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등의 금리인하가 선반영된 측면이 있고 또한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축소를 금융권에 요구하면서 금융기관이 대출축소를 위해 금리를 인하하고 있지 않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최근 미국의 금리인하 등을 하였으나

    우리나라는 부동산 시장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는 등

    이에 따라서 정부에서 부동산 가격을 잡기 위하여

    이에 따라서 대출금리 등에 있어서 규제 등을 하는 등 하였기에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미국이 금리 인하를 안하고 우리나라까지 꼭 영향을 주는것은 아닙니다.

    영향을 주더라도 어느정도 시차가 있고 우리나라는 또 우리나라만의 사정이 있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내렸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기준금리를 내리지 않고 있기도 하고 지난 상반기에 가계대출이 너무 많이 늘어나서 금리를 올리는 조치를 취하는 중이기에 미국과 언제나 커플링 되어 움직이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는 기준금리와 시중금리에 갭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시중금리는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거나 빼서 결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미 금리인하가 어느정도 반영이 되어 있기에 현재로서는 반영이 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울러, 현재 우리나라의 금리는 낮춰지지 않았기에 우리나라의 금리도 인하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미국과 우리나라 금리 결정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미국이 금리인하를 내렸다고 해서 바로 우리나라가 내리지는 못합니다.

    우리나라는 10월 11일 금리 결정 회의를 진행하고 해당 회의에서 인하를 할것으로 예상합니다.

    그것과 별개로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정부에서 대출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대출금리가 올라가고 있고 여러가지 제약들이 생겨 대출이 쉽지가 않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세계경제의 기준입니다. 미국의 금리인하 빅컷은 아직 세계 각국에 반영이 안되었고

    또 무조건 금리인하를 하기에는 그 나라의 경제 사정이 다 다릅니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 부동산 집값 상승으로 내집마련 부담이 큰 상황인데 여기에 금리 인하 하면

    부동산 값이 더 상승할 여지도 있습니다.

    아직은 금리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여러면에서 검토중인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