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영상매체를 가지고 놀이와 학습하는 시간이 너무 많은 것 같아요. 이런 매체를 이용해서 학습 및 놀이를 많이 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초등학교 2학년 딸아이입니다. 아이가 영상매체를 가지고 놀이와 학습하는 시간이 너무 많은 것 같아요. 이런 매체를 이용해서 학습 및 놀이를 많이 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영상 매체를 이용한 학습 및 놀이는 아이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며,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사용은 아이들의 건강, 사회성, 집중력, 기억력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님은 아이의 사용 시간을 제한하고, 적절한 콘텐츠를 선택하며, 아이의 건강과 발달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영상매체에 너무 빠져있으면 주의력 결핍 및 시력저하, 사회성 발달이 저해됩니다 규칙을 정해 적당한 시갓을 가지고 학습하게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뭐든지 적당히 사용하면 큰 도움이 되지만, 지나치면 큰 부작용이 올 수 있습니다.
영상 매체 사용이 지나치면 신체 활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매체를 통한 학습과 놀이가 교육적일 수 있지만, 균형이 중요합니다. 하루 최대 1-2시간 내외의 시간을 권장하며, 이 시간을 학습적 콘텐츠와 재미를 주는 콘텐츠로 구분합니다. 아이와 사전에 매체 사용시간을 약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학습을 한다고 할지라도 적절할 시간 관리가 필요합니다.
하루에 1~2시간 이내로 제한을 해주세요.
영상 매체는 일반적인 학습으로 상호작용의 기능이 없고, 시력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영상매체 외에도 독서 및 다양한 활동으로 균형 잡힌 학습 활동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학습이랑 놀이를 병행하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문제가 될 수 있는 건 제약 없이 아이에게만 맡겨놓는 걸 주의하셔야 합니다. 학습을 영상 매체를 통해 하는 것도 결국에는 노출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제한을 두고 사용할 수 있게 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영상 시청이 많은 아이는 시각적 자극에 의존할 수 있고, 집중력 저하, 수면 문제, 사회적 상호작용 부족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시간 제한과 교육적인 콘텐츠 선택, 그리고 오프라인 활동과의 균형을 맞추면 긍정적인 학습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부모의 감독과 규제가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학습 목적이라고 하더라도, 그리고 건전한 콘텐츠를 통한 놀이라고 하더라도 너무 긴 시간은 권장되지 않으므로 적절한 시간을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책과 같은 다른 매체도 활용할 수 있게끔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영상 매체를 통한 학습의 분량을 부모님이 조절시키기가 가능하다면 매일 40분 이내로 할수 있도록 지도해주시고 놀이 시간은 20분 정도로 해서 하루 토탈 한시간 넘지 않도록 지도해 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아무래도 오랜 시간 영상매체를 보게 되면 시간의 조절이 힘들어져 금방 몇시간동안 빠져들게되며 시력저하는 물론 거북목 자세를 하게 되는경우도 많아집니다.
한시간을 연속으로 계속적으로 시청하기보다는 20~30분에 나눠서 보는것이 눈의 피로도도 낮추고 중간 중간스트레칭을 할수 있도록 해주시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