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력증으로 인한 생활 문제 조언 부탁드립니다.

2021. 03. 31. 11:47

안녕하세요.

저는 성인이고요 남자 입니다.

사회 생활도 해보고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단 한번도 제가 원하는 게 뭔지를 제대로 알지 못했어요.

내가 좋아하는 음식이나 문화 생활(ex.영화, 게임,노래, 운동) 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채 살아왔어요.

살아오면서 남들보단 둔감했던건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심하게 우울증을 겪거나 그런 적은 없었어요, 원하던 것 이루지 못했을 때도 그냥 그렇지 뭐 하고 넘어가버렸었고요.

결국 지금에 와서 의욕이 아예 없어져 버리는 상황이 오고 비관적인 상태가 되어버렸는데

이게 저 뿐만 아니라 주변인들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거 같아 그게 신경이 많이 쓰입니다.

제가 내가 좋아하는 게 뭔진 모르더라도 최소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만 알았더라도 이렇게 망가지진 않았을 거 같은데.

해결 방법을 알수가 없어서 답답해요.

먹는 것으로 스트레스 푸는 사람들 조차 부러울 정도 입니다.

현재까지 그런 스트레스들이 제대로 풀지 못하고 계속 쌓이면서 무기력증까지 온 것 같은데

이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아무런 진척을 이룰 수가 없어 더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이런 무기력증을 이겨낼 수 있는 조언을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총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조승필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그 동안 살아오시면서 마음의 외침을 무시하시고 다른 사람들이 혹은 본인이 맞다고 배운 것만 그냥 실천하시면서 살아오신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런 것들은 마음이 바라는 행복과는 다른데도 큰 문제가 없으니 마음의 소리를 무시하시면서 살아오신 것 같습니다.

일단은 꼭 진척을 이루는 삶이 훌륭하신 것은 아닙니다. 모든 것의 기준은 지금 내 몸과 마음의 행복이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무언가를 꼭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강박에서부터 벗어나셔야 합니다.

아무 것도 하실 필요가 없고요. 지금 어떤 상황에 계시던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그냥 지금 일어나는 현상은 과거에 원인에 의해서 당연히 일어나야 하는 일들입니다.

지금 일어나는 당연함을 파악하고 괜찮으면 그리 그냥 사시면 되고, 뭔가 바뀌었으면 좋으면 어떻게 하면 바뀔까 연구하면서 좀 더 행복한 현상들이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도록 차근차근 하시면 됩니다.

그냥 뭘 한다기보다는 아무 것도 안하고 마냥 몸과 마음의 소리를 관찰할 때인 것이지요.

그 동안 무시해왔었던.

2021. 04. 02. 08:52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이은별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먼저 이런 문제에 대해서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는것이 먼저이면 좋을듯합니다.

    개인적으로 스트레스에 대해서 추천하는것은 운동과 소리를 지르는 것을 추천합니다.

    몸에서 있는 스트레스를 땀이나 소리로 배출을 하는것은 흔히 스트레스 대처와 해소에서 많이권장하고 있는방법입니다.

    그렇기에 이런 스트레스를 운동이나 소리를 지름으로써 해소를 한다면 위의 무기력은 조금씩 좋아질수있을겁니다.

    또한 스트레스 해소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기에 자신이 좋아하는활동이나 취미등을 꾸준히하시다보면 자신만의 대처법을 찾을수있을것입니다.

    힘내세요. 시간이지나면 좋은일이 가득할겁니다.

    2021. 04. 01. 12:21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