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0

산에 올라 갈수록 추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산에 올라가면 태양과 가까워지기 때문에 원래 더욱 따뜻하거나 더워야하는것이지 않나요? 근데 반대로 추워지고 기온이 떨어지는 이유가 있나요? 어떤한 원리인지 설명 부탁 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에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지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 가스의 농도가 적어져서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를 공기 상승 냉각이라고 합니다.

    공기 상승 냉각은 대기압이 낮아지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더욱 강해지는 현상입니다. 대기압이 낮아질수록 분자 간의 충돌이 적어져서 열이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공기가 상승하면 온도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산 정상에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또한, 대기 중의 물분자가 상승하면서 냉각된 공기와 만나면 이것들이 응축되어 구름이 형성됩니다. 구름이 형성되면 지표면으로 드는 태양복사가 차단되어서, 산 정상에서는 일단 구름이 생기면 일반적으로 태양이 가리게 되어서 기온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따라서, 산 정상으로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것은 공기 상승 냉각과 구름 형성 등의 현상 때문입니다


  • 공정한백로247
    공정한백로24723.03.21

    사람의 신체는 일부 고강도 음파의 영향이 있을 수는 있습니다. .... 그러나 보통에서는 고강도 음파를 사용하여 사람을 무력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규제 기관에서는 고강도 음파 사용에 대한 규제 및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음파로 사람을 무력화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땅에서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져 대기의 밀도는 작아져 그 까닭은 높이 올라갈수록 지구의 중력이 약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지에서는 열을 전달해 줄 공기가 풍부하기 때문에 뜨뜻하지만, 높아질수록 공기가 적어지면서 열을 흡수하지 못해 추워져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을 올라 갈수록 추운이유는 고도가 높아 짐에 따라서 지구복사에너지의 영향이 낮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온도가 올라가고 내려가고하는 것은 태양에서 오는 태양복사에너지와 그 태양복사에너지가 지표면에서 흡수하여 열로 방충하는 지구복사에너지의 영향도 받습니다. 태양복사 에너지는 동일하고 지구의 복사에너지가 열을 방출하는 에너지가 지편에서 멀어 질수록 기온이 떨어지므로 산을 올라 갈수록 추운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에 올라가면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대기의 온도가 하강합니다. 이를 공기의 팽창냉각(adiabatic cooling)이라고 합니다. 대기가 팽창하면 압력이 낮아지면서 분자 간 거리가 멀어지는데, 이로 인해 분자 운동에너지가 감소하면서 온도가 하강합니다.

    또한 산에 위치한 지역의 기온은 지형적 요인도 영향을 미칩니다. 산의 높이에 따라 기온이 변하는 것뿐만 아니라, 산의 밑바닥과 꼭대기 사이에 있는 곳의 공기 움직임도 기온에 영향을 미칩니다. 높은 곳에서는 공기가 빠르게 움직이고, 이로 인해 기온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산을 올라가면 기온이 낮아지는 것은 공기의 팽창냉각과 지형적 요인에 의한 것입니다. 그리고 해가 뜨면 산의 노출된 면은 직접적으로 태양광을 받아 더 따뜻해지기는 하지만, 이는 기온이 아닌 지면온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산에 올라가면 더욱 추워질 수 있으며, 산에 따라서는 해가 뜨면 오히려 바람이 더욱 심해져서 기온이 더욱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산에 올라갈수록 온도는 낮아지는데 이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대기압이 감소하면 공기가 팽창하여 분자간 거리가 멀어지고 열이 빠르게 전달되지 않아서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를 기온감류이라고 합니다.

    또한, 산에서 바람이 강하게 불어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바람은 공기를 빠르게 이동시키므로 산에 올라갈수록 더 많은 바람이 불어와서 체감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에 올라갈수록 기온감소와 바람으로 인해 추워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면에서 방출되는 열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높은 곳으로 갈수록 지면의 복사 에너지가 약해져서 기온이 내려가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는 대기가 지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더욱 희박한 상태가 되어서, 열 전달이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악 지대나 고층 지역은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 산에 올라갈수록 추운 이유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대기는 지표면에서부터 위로 올라갈수록 차츰 밀도가 줄어들며, 높은 고도에 도달할수록 대기압이 낮아집니다. 이는 기체물질의 기체상태의 특성으로서, 기체가 차지하는 공간이 확대되면 분자들이 서로 떨어져서 충돌하는 빈도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대기압이 낮아지면 공기가 더욱 드문 상태가 되어서 열전달이 적어지기 때문에 온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것이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입니다. 또한, 산의 꼭대기는 바람이 강하게 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체감온도가 더욱 낮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에 올라갈수록 추운 이유는 대기의 온도가 고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대기는 지표면에서부터 고도가 올라갈수록 압력과 밀도가 감소합니다. 이에 따라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의 열전달이 적어져서 대기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기온감도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대기의 온도는 해발 1,000m당 약 6℃ 정도씩 감소합니다. 따라서 산에 올라가면 해발이 높아질수록 대기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산에는 눈이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며, 산 정상에서는 얼음이나 눈으로 덮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산에 올라가면 바람이 더 강하게 불기도 하므로 체감 온도가 더욱 낮아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산에 올라가면 온도가 추워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