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비장한누에80
비장한누에8024.02.23

심근경색 전조증상 의심되는데 심전도 검사만 하면되나요?

나이
27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경구피임약
기저질환

명치쪽이 가끔 가다 한번씩 체한 것 처럼 뻐근하게 아프고, 잘때 왼팔이 한번씩 뻐근하고 저린데 검색해보니까 심근경색 전조증상 이랑 비슷하길래.. 나이가 어려서 별 이상 없을거라고 하지만 그래도 걱정 되서 검사를 받고 싶은데 아무 병원이나 가서 심전도 검사만 받으면 되나요?? 다른 검사도 해야 하는지, 검사 받으려면 큰 병원을 가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심근경색이 발생할 경우에 이야기 하신 것과 같은 양상으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심근경색은 발생하였을 경우 증상이 스스로 좋아지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가끔가다 한 번 씩 증상이 나타난다고 느끼시는 부분에서 애초에 심근경색의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없어 보입니다. 협심증 등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심전도, 24시간 홀터 검사, 심초음파 등 여러가지 검사를 통해서 감별해볼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명치 주변의 뻐근함과 잘 때 왼팔의 뻐근함 및 저림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심근경색의 전조 증상과 유사하다고 느끼실 수 있습니다. 나이가 어리더라도 이러한 증상은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심전도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기본적인 검사로, 대부분의 병원이나 클리닉에서 시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액 검사, 심장 초음파, 운동부하 검사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심장 관련 증상을 경험하고 있다면, 먼저 일반 내과나 가까운 클리닉에서 상담을 받아보세요. 필요한 경우, 전문의는 보다 정밀한 검사를 위해 큰 병원이나 심장 전문 클리닉으로 의뢰할 수 있습니다. 건강에 대한 우려가 있을 때는 조기에 전문가의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허혈성심질환이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는 말씀이시죠?

    심전도 검사는 증상이 있을 때 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전에 증상이 있었기 때문에 확인을 위하여 검사를 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지만 원하시는 정보를 얻기에는 부족합니다. 운동부하검사 심장초음파 심장CT까지 하게되면 증상이 없더라도 허혈성심질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단지 환자분같은 젊은 연령에 기저질환이 없으신 분이 해당검사를 하는 것은 흔하지는 않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