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

지구과학 용어 중에 고생태학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한반도에서 소나무가 참나무를 밀어내고 살아남은 이유에 대한 뉴스 중에

"‘기후의 힘: 기후는 어떻게 인류와 한반도 문명을 만들었는가’라는 책 제목을 보고 저자가 지질학자일 거라고 생각했다. 책 날개를 보니 저자 박정재는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였다. 지리학과는 서울대의 경우 사회과학대학에 있다. 혼란스러웠다. 박정재 교수가 자연과학자일까, 사회과학자일까? 책은 그의 연구 분야를 ‘생물지리학’ ‘고기후학’ ‘고생태학’이라고 소개해 놓았다. 책을 낸 바다출판사 김은수 편집자에게 물어보니 “한반도 고기후를 연구하는 거의 유일한 분이라고 알고 있다”라고 얘기해줬다." 내용에

고생태학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생태학은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 화분 등을 바탕으로 고생물과 환경의 관계, 고생물상의 구성과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석이나 화분(花粉) 등이 산출된 지층에서 얻은 지식을 기초로 하여 고생물과 그것이 생활하던 환경과의 관계나 고생물상, 그리고 과거의 생물군집의 구성과 변천 등을 명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수단으로서는 고생물과의 동일종 또는 근연의 현생종(現生種)의 생태에 관한 지식에서 고생물의 생태를 추측하는 방법이 취해진다. 고생태학은 층서학(層序學:지층의 생성과정) ·고지리학(古地理學:지질시대의 기후변천) 등 다른 지구과학의 여러 분야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생물상 ·생물분포 ·생물군집의 성립이나 생물진화의 연구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출처:두산백과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생태학은 유기체 간의 상호 작용 및 지질학적 시간 척도에 걸친 유기체와 환경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입니다. 하나의 학문으로서 고생태학은 고생물학, 생태학, 기후학 및 생물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와 상호 작용하고 이에 의존하며 정보를 제공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생태학은 화석과 화분 등이 산출된 지층에서 얻은 지식을 기초로 하여 고생물과 그것이 생활하던 환경과의 관계나 고생물상, 그리고 과거의 생물군집의 구성과 변천 등을 명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그 수단으로서는 고생물과의 동일종 또는 근연의 현생종의 생태에 관한 지식에서 고생물의 생태를 추측하는 방법이 취해집니다. 고생태학은 층서학(지층의 생성과정) ·고지리학(지질시대의 기후변천) 등 다른 지구과학의 여러 분야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생물상 ·생물분포 ·생물군집의 성립이나 생물진화의 연구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과 화분 등을 바탕으로 고생물과 환경의 관계, 고생물상, 생물군집의 구성과 변천을 연구하는 고생물학의 한 분야입니다. 고생물과 동일종 또는 근연의 현생종의 생태에 대한 지식으로 추측하는 방법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