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음악

박식한비둘기179
박식한비둘기179

판소리가 생긴 이유가 어떤게 있나요?

판소리가 전라도 지역에서 생긴거 같은데 어떤 이유로 생겨났다고 할수있나요 뭔가 운율이 있어 노래같지만 아닌거도 같고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판소리라는 명칭은 판소리가 생길때부터 생겨난 이름이 아니며, 이전에는 타령, 창, 잡가 소리 등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판소리라는 명칭이 널리 쓰이기 시작한 것은 해방 직후이며, 우리민족의 삶과 문화의 심층에 뿌리를 작고 오랜 세월어 걸쳐 전해내려온 전승예술입니다.

      영조 무렵 만화재 유진한의 문집 만화집 가운데 가사 춘향가 200구가 실려있으며 이는 현재까지 문헌으로 확인할수 있는 판소리에 가장 오래된 기록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판소리는 조선시대(1392-1910)에 발달한 한국의 전통 뮤지컬 장르입니다. 그것은 문화적 신념, 전설, 역사를 전승하기 위해 이야기와 노래가 사용되었던 샤머니즘과 민속 전통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집니다. 판소리는 북을 치는 가수와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야기꾼에 의해 연주되었습니다. 음악과 스토리텔링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고 가수는 스토리에 생명을 불어넣기 위해 다양한 발성 기술과 몸짓을 사용했습니다. 판소리는 오락의 한 형태이자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보존하는 수단이었으며, 계속해서 한국 공연 예술의 대중적이고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판소리가 전라도에서 생겼다는 역사적 근거는 없습니다.

      판소리는 18세기부터 오늘날까지 전해져 온

      음악 예능의 형태로, 본래는 판놀음 속에서

      부르는 소리를 칭하는 말이였습니다.

      외국에서 사신이 왔을 때도 공연을 하였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 판소리는 당시에 흥미로운 이야깃 거리를 기본 내용으로 하여 여기에 운율을 더해 불리던 서사 장르입니다. 음악이냐 소설이냐로 분류하면 소설에 가까운 장르가 됩니다.

      판소리가 생겨난 것은 긴 이야기를 리드미컬하게 즐기고 싶은 당대의 양반층의 욕구가 주된 이유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전라도는 대표적인 곡창지대로 양반들의 놀이 문화가 발달되었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전라도지역에 판소리가 유명한 이유가 이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