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에 기생을 하는 생물이 또 있나요?
안녕하세요. 사람이나 동물에 또는 물고기 같은 생물에 기생하는 생물을 우리가 기생충이라고 부르잖아요. 그런데 이런 기생충에 기생을 하는 또다른 기생충이나 생물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하이퍼파라시티즘이라고 부릅니다. 실제로 기생충에 또 다른 기생충이 기생하는 사례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좀벌류가 있습니다. 이들은 다른 곤충의 체내에 알을 낳아 그 곤충을 숙주로 사용하는 기생 곤충입니다. 그런데 이 좀벌류 자신이 다른 기생벌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또 다른 동물에 기생하는 진드기에 박테리아가 진드기를 숙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곰팡이나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다른 생물의 몸에 기생하여 생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일부 기생충은 다른 기생충에 기생하여 생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기생충들은 서로 간의 호스트를 공유하고, 각각의 기생충이 호스트에서 필요한 영양분을 빨아먹거나 생존하는 방식으로 서로의 생존을 유지합니다.
네, 기생충에 기생하는 생물이 실제로 존재합니다. 이를 '과기생(hyperparasitism)' 또는 '2차 기생'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일부 벌이나 파리 종은 다른 기생충의 유충에 알을 낳아 그 기생충을 숙주로 삼습니다. 또한 일부 곰팡이나 박테리아는 기생충에 감염되어 그들을 숙주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자연계의 복잡한 생태계 관계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예시입니다. 과기생은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생충 개체군을 자연적으로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생충은 다른 생물에 기생하여 생존하는 생물로서 기생충에 기생을 하는 또 다른 기생충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기생충에 기생을 하는 다른 종류의 생물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생충이 사람의 소화기관에 기생하는 경우 그 소화기관 내부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 미생물 중 일부는 기생충에 기생하여 함께 생존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기생충에 기생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같은 환경에서 함께 생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생충에 기생하는 생물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기생충은 다른 생물에 기생하여 생존하는 독립적인 생물이기 때문에 기생충에 기생을 하는 다른 기생충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네, 기생충에 기생하는 생물이 있으며, 이런 생물들을 2차 기생충 또는 초기생충이라고 부릅니다.
대표적으로 일부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진균은 기생충에 기생하여 영양분을 얻는데, 엔테로바이러스는 회충에 기생하여 회충병을 더 악화시키기도 합니다.
그리고 포자충, 편모충 등의 일부 원생동물은 기생충의 세포나 조직에 기생하여 영양분을 얻기도 하는데, Nosema 속 원생동물은 모기의 말라리아 기생충에 기생하여 기생충의 번식을 방해하기도 하죠.
또한 일부 선충은 기생충의 소화관이나 생식기관에 기생하며, Parasitylenchus 속 선충은 회충에 기생합니다.
이런 2차 기생충은 숙주에게 직접적인 해를 끼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숙주의 기생충 감염을 감소시키거나 숙주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네, 있습니다. '기생충'은 다른 생물체의 몸속에서 먹이와 환경을 의존하여 기생생활을 하는 무척추동물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개체의 몸 안에서 성장해 최종적으로 숙주를 죽이는 기생충을 포식기생충이라고 하는데, 이 포식기생충에 다시 기생하는 생물을 초과포식기생충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