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줄기세포연구의 성과는 어떤가요 ?
안녕하세요, 올 2024년의 생명과학 부분에서 줄기세포 연구의 주요 발전 사항은 무엇인가요 ?
신체 장기 재생에 관련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2024년은 줄기세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진전을 이룬 해로, 여러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이 보고 되었습니다. 특히 파킨슨병 치료에 있어 큰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Stem Cell Research in Parkinson’s Treatment: Global Leaders of 2024). 또 줄기세포 연구는 다양한 신체 장기의 재생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방식으로 신장 필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세포를 성장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New and Improved Way to Grow the Cells That Give Rise to the Kidney's Filtration System
미래의 줄기세포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치료법을 혁신적으로 바꿀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1명 평가네, 계속 이뤄지고 있으며 2024년 줄기세포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진전을 보이고 있습니다.
네이처지에 개시된 논문을 보면 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iPS 세포로부터 도파민 신경 세포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사이언스지에 개시된 논문에서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데 iPS 세포 치료가 효과적일 가능성이 있다는 초기 임상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심장 마비로 손상된 심장 근육을 재생하기 위해 iPS 세포를 사용하는 새로운 임상 시험이 시작되었고 일본의 연구원들은 심장 질환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 기반 치료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는 대규모 메타 분석을 발표했었습니다.
그리고 올해 Nature Medicine에 개시된 논문에는 CAR-T 세포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새로운 방법이 실렸으며, FDA에서는 백혈병 치료에 CAR-T 세포 치료를 사용하는 새로운 임상 시험도 승인되었습니다.
그 외에도 줄기세포 치료가 당뇨병, 낭포성 섬유증 및 척수 손상과 같은 다른 질환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고 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규제적 측면을 다루는 새로운 지침과 법률이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근에 혈액암 치료 중 발생하는 심각한 합병증인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cGVHD,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환자에게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MSCs, Mesenchymal Stem Cells)를 반복 투여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은 동종 조혈모 세포 이식 후 환자의 정상 세포를 공여자의 면역세포(T세포)가 공격해 발생하는 심각한 자가면역질환인데요, 연구팀은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해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활용하는 전향적인 1·2상 임상 연구를 설계했습니다. 심각한 스테로이드 불응성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을 경험하고 있는 환자 1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해 정맥 주사를 통해 줄기세포를 2주 간격으로 4회 반복 투여했고,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모든 환자들에서 심각한 부작용이나 이상 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치료 후 8주가 지난 시점에서 모든 환자들은 증상이 개선되고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최근의 주요 발전 사항으로 몇가지가 있는데요
인간의 성체세포에서 얻은 세포를 줄기세포로 변환시키는 IPS기술이 발전하였습니다. 이 기술은 유전자 재프로그래밍을 통해 성체세포를 줄기세포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개인의 성체세포로부터 맞춤형 줄기세포를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줄기세포를 활용하여 인공적으로 조직과 장기를 재생하고 이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체 장기 재생에 관련된 다양한 질환의 치료와 장기 이식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중요한 발전입니다.
2024년 줄기세포 연구의 주요 성과로는 신체 장기 재생과 관련된 중요한 진전이 있습니다. 특히 인공적으로 배양한 줄기세포를 이용한 간, 신장, 심장 등 주요 장기의 재생 가능성을 크게 높였으며, 일부 동물 실험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습니다. 이를 통해 이식용 장기 부족 문제 해결에 한 걸음 더 다가섰습니다.